-
-
아버지를 기억해 - 곁에 있어줘서 고마운 당신에게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시원북스 / 2022년 5월
평점 :
몇 년 전, 할머니가 파킨슨 증후군 진단을 받으셨다. 처음에는 손과 입을 떠시는 정도였는데, 몇 년이 지나고 나니 인지
장애가 생기셨다. 파킨슨 환자의 일부에서 치매가 발병한다더니, 할머니에게도
가벼운 인지 장애가 왔다. 방금 전에 같이 식사를 하셨는데도 식사는 했냐고 물어보시고, 오늘 날짜와 요일, 시간 등을 잘 모르셔서 계속 물어보신다.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매일 아침 패치로 붙여드리는데, 다행히 빠르게
나빠지고 있는 건 아니고, 아주 조금씩 안 좋아지신다.
하지만 미래에 얼마나 인지 장애가 심해지실지, 심각한 치매 환자가 되실지 아닐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그 때문에 <아버지를 기억해>를 읽었다. 이 책은 <미움받을
용기>의 작가 기시미 이치로가 치매에 걸린 80대의
아버지를 중년의 나이에 간병하면서 쓴 책이다. 아버지를 간병한 경험에 대한 이야기 역시 실려있지만, 아들러 심리학을 연구한 학자인만큼, 치매 환자를 어떻게 대하고 받아들여야
하는지, 어떤 마음으로 간병을 해야 하는지, 치매 환자를
포함해서 나이듦과 돌봄이란 어떤 것인지를 풀어주었다.
기시미 이치로의 아버지는 심한 치매를 앓은 듯 하다. 혼자서는 생활할 수 없는 상황이었고, 기시미 이치로가 가까운 거리에서 살면서 매일 출퇴근하듯 아버지의 집으로 가서 돌봐드리고 저녁에는 집으로 돌아왔다.
사실 기시미 이치로와 아버지의 관계가 원래부터 썩 좋지는 않았던 듯 하다. 발병하기 전에
아버지는 기시미 이치로와 자주 부딪혔다. 그런 상황에서 간병을 하게 되어서 더 어려웠을 터. 간병하는 부모에게 기시미 이치로는 감정적이 되곤 했다. 그러나 그러한
태도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화를 내서 무언가 문제가 해결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기시미 이치로는 나이든 아버지를 간병하는 것을 시들어가는 꽃에 변함없이 물을 주는 것에 비유한다. 꽃이
시들어가도 스스로를 포기하지 않듯이 아버지도 포기하지 않으며, 기시미 이치로도 아버지의 손을 놓지 않는
것이다.
기시미 이치로는 무언가를 잘 해내고, 어딘가에 기여하는 것이 가치있는 사람이 되는 길이
아니라고 역설한다. 살아 있는 것 자체로, 존재하고 있는
것 자체로 공헌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부모가 아프고 병들어 혼자서는 생존할 수 없다 해도, 이 세상에 존재한다는 것만으로 자식들에게는 힘이 된다.
할머니의 여생이 얼마나 남았는지, 그 여생이 파킨슨 증후군으로 인해 얼마나 힘겨운 것이
될 지는 잘 모르겠다. 컬러링북이나 워크북을 사 드리면서, 조금이라도
총기가 있어 지시길 바라지만 미래에 병세가 어떨 지는 여전히 알 수 없다.
하지만 할머니께서 살아 계시다는 것이 큰 의미가 된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정정하실 때처럼
새벽에 수산시장에 가서 살아있는 게를 사와 게장을 담그시지는 못하시지만, 여기 저기 아프시고 자꾸만
졸음이 와서 누워 계시는 경우가 많지만, 그래도 여전히 사랑하는 할머니이다.
할머니에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음이 슬프지만, 큰 병에 걸리신 게 참 우울하지만, 그런 사실을 의연히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낀다. 할머니의
여생이 좀 더 즐겁고 편안한 것이 되길 바라며, 이 책에서 얻은 아이디어가 앞으로의 날들에 도움이 되길
소망해본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623/pimg_793826177345780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