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파민네이션 - 쾌락 과잉 시대에서 균형 찾기
애나 렘키 지음, 김두완 옮김 / 흐름출판 / 2022년 3월
평점 :
현대는 과히 도파민 과잉의 시대다. 꼭 약물이나 알코올이 아니더라도, 쇼핑이라거나 치킨, 피자같은 고열량 음식, 또는 설탕을 탐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나도 마찬가지다. 바쁘고 피곤한 와중에 커피와 초콜릿을 잔뜩 털어넣으며 밤을 새기 일쑤였고, 인터넷에서
주문하면 이틀 후 집 앞에 갖다주는 턱에, 좋아하는 걸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쟁이기도 했다. 현대인은 바쁘고 피곤하고 스트레스에 절어 있다. 그걸 달래기 위해, 또는 힘을 내기 위해 먹거나 쇼핑을 하면서 빠른 스트레스 풀이법을 찾는다.
이 도파민 과잉의 시대에 스탠퍼드 중독치료센터 소장인 애나 렘키는 쾌락과 고통에 대해서 말한다. 우리는
누구나 쾌락을 좇는다. 그건 인간의 본성이다. 고통을 피하고
즐거운 걸 가까이 하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현대 사회는 쾌락이 여기 저기 널려있고 손만 뻗으면 술이든, 사고 싶은 물건이든, 맛있는 음식이든 금세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애나 렘키는 쾌락과 고통은 하나라고 일설한다. 쾌락을 지배하는 도파민은 고통과도
관련이 있다. 절정의 쾌락 후에는 깊고 어두운 심연 같은 고통이 온다.
고통-쾌락의 시소에서 쾌락이 너무 자주, 또
많이 눌리면 그 반동으로 고통 반응이 온다. 심지어는 시소가 기본적으로 고통 쪽으로 기울어 쾌락은 거의
느끼지 못하고 고통만을 느끼기도 한다. 너무 쾌락을 탐한 결과다. 약물
중독자 등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반대로 고통 후에는 쾌락이 온다. 찬물 목욕을 하면, 당장
하는 동안에는 괴롭지만, 끝내고 나면 고양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나도
비슷한 걸 느껴봤다. 편두통이 종종 있는데, 지독한 편두통에서
회복되고 나면 기분이 상쾌하고 너무나 좋아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경우가 있다. 심하게 아프면서도 해야할
일을 미루지 못한 후도 마찬가지다. 병이 나으면, 일만 하고
있어도, 딱히 즐거울 것도 없는데 기분이 좋다.
약물 중독 및 알코올 중독 환자를 많이 상담했던 애나 렘키는 중독된 것에 접근할 수 없도록 차단하고,
중독에 대해 솔직히 말하는 등의 중독 치료 방법으로 이 책을 마무리한다.
오랜 기간 동안 상담치료를 해왔던 애나 렘키의 사례와 자신이 로맨스 소설에 중독되었던 경험 등에서 우러나오는 이야기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쓴 책이었다.
좋아하는 것을 즐기는 것이 과해서 삶에 지장을 준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에서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 뿐 아니라 원하는 것을 손에 넣기 쉬우며, 피로와 과로에 찌들어
사는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삶에 대한 혜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05/pimg_793826177336951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