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양장) 앤의서재 여성작가 클래식 3
메리 셸리 지음, 김나연 옮김 / 앤의서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켄슈타인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나도 알고 있지만, 괴물이라는 것 외에는 아는 것이 없었다. 이 책을 읽기 전 까지는.

<프랑켄슈타인>은 사실 괴물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그에 앞서 생각해야 할 것이 굉장히 많은 고전이었다. 단순히 괴물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로 읽기에는 무거운 주제가 담겨 있다.
이야기는 남극을 항해하는 월턴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는 누이에게 보내는 편지에 남극에 가까워진 후 거대한 괴물을 보았다는 이야기를 쓴다. 개가 끄는 썰매를 타고 지나간 그 거대한 괴물에 이어서, 유빙에 실려 떠내려온 사람을 구조한다. 그가 바로 빅터 프랑켄슈타인. 괴물을 만든 사람이었다.
이어서 빅터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그는 사촌 엘리자베스와 친구 앙리, 하녀 유스틴과 어린 동생들, 아버지와 함꼐 유복하고 행복한 어린 시절을 보낸다. 성장해서는 자연 철학에 심취하여 유학을 떠난다.
그곳에서 그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고, 생명 현상에 대해서 큰 관심을 갖고 연구한다. 그리고 그는 드디어 생명의 원리를 꺠우친다. 그리고 밤낮을 바쳐 연구하며 그 생명을 불어넣을 육신을 만든다. 그 육신은 사람 크기로 만들기가 불가능해서 거대해졌다. 피폐해져 가면서 실험을 거듭하고, 드디어 육신에 생명을 불어넣은 날. 그는 도저히 자신이 만들어낸 생명체를 보지 못하고 실험실을 뛰쳐나가 버린다. 너무나 흉측한 외모의 괴물이 움직이고, 말하는 것을 보니 참을 수 없었던 것이다. 실험을 성공시켜야 한다는 일념 하에 외모가 별로 보기 좋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 작업을 이어 갔으나, 막상 그 육신이 생명을 가지니, 도저히 마주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
크게 충격을 받은 빅터는 거리를 떠돌다 집으로 돌아오고, 집 안에 그 괴물이 없다는 것을 알고 안심한다. 그렇게 그의 실험은 자연 철학에 대한 혐오감만을 남기고 마무리 지어지는 듯 했다.
그러나 괴물은 어딘가에 살아 있다가 빅터에게 마수의 손길을 뻗는다. 빅터의 창조로 갑자기 생명을 얻은 괴물. 그는 괴물이기는 했지만 하나의 생명체이며 인격체였다. 그에게도 감정이 있고, 섬세한 감성과 인지 능력이 있고, 소망과 미덕이 있었다. 그러나 그의 흉측함으로 인해 상처만 얻는다.
살아있는 생명체이지만, 누구에게도 사랑받을 수 없는 괴물. 그에게도 행복할 권리가 있지 않을까? 그도 사랑받아야 할 하나의 인격체가 아닐까? 최소한 창조자인 빅터라도 괴물을 돌보고 사랑해주어야 하는 건 아닐까? 태어나면서부터 모두에게 거부당하고, 선의마저 왜곡되는 단 하나의 이유는 그의 외모.
선함으로 가득하던 그의 인성이 빅터를 향한 복수로 이글대고, 파국으로 치닫는 이 소설을 읽으며, 살아있는 모든 것에 대한 존중을 생각할 줄이야 몰랐다.
괴물이 나오는 SF 소설의 시초이지만, 절대 재미있기만 하지는 않았다. 작가인 메리 셸리의 평탄하지 않았던 인생에서 길어 올려진 이야기여서 였을까. 아픈 이야기이기도 했고, 끔찍한 이야기이기도 했으며, 인류의 편견에 경종을 울리는 이야기이기도 했다.
외모 때문에, 갖고 있는 질병이나 장애 때문에, 또는 극심한 가난 때문에, 무시당하고 천대당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그리고 그 사람들을 차별하는 매정한 사람들에게 우리는 얼마나 쉽게 공감하고 동의해 버리는가? 메리 셸리가 그려낸 빅터 프랑켄슈타인과 괴물을 보면서, 생각해볼 만한 문제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