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터 프랭클 - 어느 책에도 쓴 적 없는 삶에 대한 마지막 대답
빅터 프랭클 지음, 박상미 옮김 / 특별한서재 / 2021년 12월
평점 :
꽤나 오래 전에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인상깊게 읽었다. 그 책의 문구 중 “그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삶에 대해 예스라고 대답하는 것”이 너무
좋아서 내 플래너 맨 뒷장에 매년 적어왔다. 인생의 의미를 중시하는 로고테라피에 대한 이야기를 읽다
보면, 내 인생의 의미는 무엇인지, 나는 꼭 이루어내야만
하는 사명을 갖고 있는지 자문하게 되었다.
이 책은 빅터 프랭클이 삶을 마치기 2년 전에 쓴 그의 자서전이다. 어린 시절부터 청년기를 거쳐서, 유대인 수용소에서의 경험과 수용소에서
살아남아 책을 출판하고,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두 번째 아내를 만나기까지의 인생을 찬찬히 이야기했다.
그의 다른 책에서는 들을 수 없었던 빅터 프랭클의 내밀한 속내를 들여다 본 느낌이다. 수많은
강의를 하던 때의 에피소드와, 난감한 상황에서 항상 청중을 웃겨서 자신의 편으로 만들었다는 이야기. 병원에서 근무하며 환자의 말에 집중하고 환자를 통해 배우려 했다는 이야기. 나치의
수용소에 들어가기 전에 미국으로 도망갈 수 있었으나 부모님과 떨어지지 않으려 남아있다 게슈타포에 끌려갔던 이야기.
아내 역시 수용소에 끌려 가지 않을 수 있었으나 빅터 프랭클과 함께 있고 싶어, 같이 수용소에
끌려 갔다는 이야기. 수용소에서 게슈타포의 알 수 없는 선의로 가스실로 직행하는 걸 면한 이야기 등등.
삶의 의미는 우리가 숨 쉬는 마지막 순간까지 발견해야 하는
것이지요. 내가 피할 수 없는 운명 때문에 고통받고 있다 하더라도,
‘고통을 인간의 업적’으로 승화시키면서 삶의 의미를 쟁취할 수 있는 것입니다.
(p. 72)
가장 인상 깊었던 이야기는 역시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집필한 이야기였다. 빅터 프랭클은 원고를 소중히 옷에 붙이고
수용소에 들어갔으나 모두 빼앗겨 절망했다. 그러나 수용소에서 지급 받은 옷에 기도문이 써진 종이가 들어
있었고, 그는 잃어버린 원고를 그 종이에 다시 쓸 수 있었다. 때로는
수용소 안에서 구하기 힘든 종이를 선물 받기도 하면서 책을 집필했다. 그리고 그가 수용소에서 나오고
난 후 그 원고는 빛을 발할 수 있었다.
빅터 프랭클이라는 한 거인의 마음 속을 들여다볼 수 있었던 책이었다. 이 책을 집필하고
2년 후 그는 9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로고테라피는 여전히 세상에 남아 많은 사람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로고테라피를
구상하던 시기의 비하인드 스토리일 뿐 만 아니라, 빅터 프랭클이라는 한 인간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는
책이었다.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107/pimg_793826177326146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