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프로그램 중에 하나인 듯하다, 인생의 2막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해 성공사례를 다루는 얘기였다. 김용덕씨는 은행원으로 20년을 살다가 40의 나이에 불연듯 은행을 그만두고 제 2의 인생을 시작했단다. 여러번의 우여곡절 중에 커피를 만났고, 커피는 본인 인생에 최대의 행운이라고 말한다. 커피를 좋아하는 내게 커피 사장님 이야기는 재미있었다. 강릉 어디에 있다는 그 커피집에 가봐야지 하는 생각이 든 것은 당연한 것. 

논두렁 밭두렁을 지나 왠 카페가 나온다면, 그는 그 카페를 차리고 몇 년 동안 하루에 한 명의 손님을 만나기 어려웠단다. 근데 왜 그 시골에 카페인가? 될 줄 알았단 말인가? 그는 두 가지 이유 때문에 그곳에 차렸다는데 첫째 이유는 돈이 그곳에 차릴 정도 밖에 없었고, 둘째는 완벽하면 찾아오리라는 믿음이였단다. 완벽은 장소가 제일 중요하다는 카페경영에도 먹히긴 먹혔다. 그는 몇 년 후 전국 각지에서 커피애호가들을 강릉으로 불러들였다.  

그의 경영철학은 완벽인듯 했고, 음식장사의 원칙은 좋은 재료를 퍼주는 것이라는 말은 의미있다.  

그러나 그보다 빚이 20억을 육박할 때도 카드론으로 직원들 해외연수를 시켰다는 것은 놀랍다. 기자는 물었다. "그렇게 교육시켰는데 다른 데 가면?" 그의 답은 명쾌하다. "그가 가면 어딜 가겠는가? 우리 나라에서 일 하지 않겠는가. 결국 우리 나라 커피 맛이 좋아지는 것이다."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내 수업의 정보를 심지어 학원 선생님들에게도 주려고 하지 않을 때가 있다. 내 수업 노하우들고 다른데로 튈까봐 그랬나? 아무튼 난 속좁은 인간이다. 

 세상에는 배움을 주는 사람들이 정말 많다. 김용덕씨에게서 많은 것을 배웠다. 특히 "최고를 본 사람이 최고가 될 수 있다."는 말에 속칭 은혜를 받았다. 그리고 그 최고가 완벽함에 있다는 사실에 피곤을 핑계삼에 완벽하지 못할 때가 있는 나를 채찍질한다. 늦은 밤에 원두를 주문했다. 김용덕씨의 완벽을 배우고 싶어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