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 단편선 - MBC 느낌표 선정도서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박형규 옮김 / 인디북(인디아이)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책읽기를 싫어하는 아이들과 책을 가슴으로 읽어보자고 하는 것은 우수운 작업걸기이다. 난 늘 그런 작업걸기를 한다. "야, 이 책 참 이쁘지?" 자그마한 크기의 책이 맘에 들었다. 러시아의 어디쯤으로 여겨지는 겉 장의 그림도 마음에 쏙 들었다. 어디선가 들었음직한 이야기들, 혹 어디선가 읽었던 이야기들이지만 여전히 삶의 가치를 알려주려는 작가의 노고는 살아있었다.  

 톨스토이가 실제로 어떤 작가였던 간에 단편집 속에서 내내 그가 주장하는 것은 사랑이요, 믿음이었다. 또 하나 깊이 경계하는 것은 남음이며, 욕심이다. 다 안다. 다 알지만 또 마음을 울리기에 마음에 담아두기로 한다. 내가 늘 연모해 마지않는 '여유'가 날 타락시킬 지도 모른다는 것은 큰 위로가 된다. 여유와 남음은 즐길 것을 찾는다지 않는가? 즐길 것을 찾던 사람들은 그 속에 있던 늑대를 드러내서 포악해진다니 참 다행이다. 읽어도 읽어도 끝이없는 책이며, 해도해도 더 해야하는 수업준비며, "오늘 엄마 아무데도 안 가요?"라고 묻는 아들의 음성에 "엄만 책 봐야 하니까. 넌 저기 가서 기초계산 풀어."라고 말 해야하는  순간이 미치도록 싫어지는 내게 '바쁨'이 도리어 나를 건강하게 한다는 이야기는 위로 그 자체다.  

 더 많이 가지려다 죽음에 이르는 모습은 더 넓은 집에 살려다가 좌절하는 우리와 비슷하고, 죽기 전에 이 책을 읽고 절제의 마음을 되새겼으니 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얼마 전에 보험설계사를 만났다. 노후를 위해 최소한의 준비가 필요하다고 역설을 하기에 "맞다, 맞지만 돈을 적게 쓰면서도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을 배워서 행복한 노후를 맞이하겠노라."고  했다. 모두가 부자가 되라고 외치는 요즘 '부자? 글쎄'라고 말`해 주는 이 책이 참 좋았다. 다만 에핌을 닮은 내가 엘리사를 부러워해야 하는 것이  씁쓸할 뿐이다. 책을 읽고 아이들에게 마음에 마음에 꼭 담아두라며 말한다. "악마가 우리를 유혹할 때 쓰는 방법은 고난이 아니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