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단 하나의 시 - 지치고 힘든 당신에게
조서희 지음 / 아마존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깊은 울림이 있는 시를 좋아합니다. 소외된 이들에게 따뜻한 위로의 말을 건네주고, 외로운 이들에게 눈물과 그리움의 말을 건네주는 시를 좋아합니다." - 프롤로그 중에서(5쪽) -


이 책을 엮고 지은 조서희 님은 우리의 마음을 위로하고 가슴을 따뜻하게 만드는 다채로운 시들을 소개합니다. 단순히 시만을 소개한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의 시에 해설을 쓰고 엮은 이의 감상을 덧붙여 본래의 시를 더욱 풍성하게 만듭니다. 마흔다섯 편 밖에 되지 않는 시가 실려있음에도 이 책이 독자에게 묵직한 감동을 전해주는 것은 바로 그 때문입니다.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단 하나의 시>는 총 4장으로 254페이지로 되어 있는데, 각 장의 제목 하나하나가 울림이 있어 꼭 소개하고 싶습니다. 1장 사랑은 상처를 허락하는 것이다, 2장 우리는 그저 모두 상처받은 사람일 뿐, 3장 슬픔을 세탁하는 방법, 4장 이번 생은 처음이라. 독자가 지금 처한 상황에 따라 손길 가는 페이지를 열어볼 수 있어 고마운 구성입니다.


문정희 님의 '이별 이후'는 가슴 저린 아픔을 노래합니다. "너 떠나간 지 / 세상의 달력으론 열흘 되었고 / 내 피의 달력으론 십 년 되었다 / 나 슬픈 것은 / 네가 없는데도 / 밤 오면 잠들어야 하고 / 끼니 오면 / 입안 가득 밥을 떠넣는 일이다 (24쪽)" 니 생각 날까봐 니 생각에 체할까봐 밥도 잘먹지 못한다는 포맨의 노래 '못해'가 떠오릅니다. '내 피의 달력'이라는 시어는 가슴 사무치는 절창입니다.


tvN의 <알쓸신잡> 첫 방송에서 백석이 통영의 충렬사 계단에서 썼다는 시가 소개된 적이 있습니다. 이 책에 실린 것은 '통영', 방송에서 나온 것은 '통영 2'입니다. 두 시는 비록 나뉘어 있지만, 실은 하나의 연작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엮은이의 해설과 그에 붙은 '자다가도 일어나 달려가고픈 곳'이라는 제목은 통영 2의 시어를 빌린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



"아우야, 니가 만약 효자가 될라 카머 / 너거무이 볼 때마다 다짜고자 안아뿌라 / 그라고 젖 만져뿌라, 그라머 효자 된다 (98쪽)" 는 이종문 님의 '효자가 될라 카머' 는 늙으신 어머니를 떠올리게 합니다. 이젠 기력이 많이 빠지셔서 당신 몸 하나 가누기 어려우신데도, 늘 자식 걱정이 먼저인 어머니. 따뜻한 말 한마디 건네지 못하고 잔소리만 늘어놓는 불효한 자식은 차마 고개를 들지 못하겠습니다.


'농업 박물관 속 허수아비'를 보며 "사랑은 이렇게 두 팔을 활짝 벌리고 / 오지 않을 너를 맞이하는 것" 이라고 말하는 이창훈 님은 어떤 사랑을 하셨기에 이리도 절절한 것인지 그 깊이를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허공에 들린 발 / 바닥에 박힌 못은 / 녹슬어 가는 안간힘으로 / 땅에 뿌리박은지 오래 / 올 수도 갈 수도 없는 / 기다림은 얼마나 참혹한가 (116쪽)" 이 시의 4연은 허수아비 바로 그 자체입니다.


킴벌리 커버거의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 알았더라면' 과 나희덕의 '다시, 십년 후의 나에게' 는 과거와 오늘과 미래를 마주하는 나를 앞뒤로 되돌아보게 합니다. "시 한편에 삼만 원이면 / 너무 박하다 싶다가도 / 쌀이 두말인데 생각하면 / 금방 마음이 따뜻한 밥이 되네 (194쪽)" 라는 함민복 님의 '긍정적인 밥'은 나의 내면에 너그러움과 세상을 향한 시선에 희망을 드리우게 합니다.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 단 하나의 시>를 엮은 조서희 님도 <소금꽃 피다> 등의 시집을 낸 시인입니다. 시인은 "지치고 힘든 당신에게... 살다 보면 마음이 힘들 때가 있지요. 그럴 때가 시를 읽을 때입니다." 라며 이 책을 우리에게 건넵니다. 자연스레 눈길이 가는 시를 조용히 읊조려 봅니다. 사랑하는 이의 눈물을 닦아주듯, 한 편의 시가 우리의 가슴을 다사롭게 씻어줍니다~



카페 '책과 콩나무'의 서평단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