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이 내 인생에 말을 걸었다 - 세상의 지혜를 탐구하는 수학적 통찰 ㅣ 서가명강 시리즈 40
최영기 지음 / 21세기북스 / 2025년 7월
평점 :
세상의 지혜를 탐구하는
수학적 통찰
p26 1과 자기 자신 외에는 어떤 수로도 나눌 수 없는 소수
고독하지만 완전한 존재다 겉으로는 흩어지고 불규칙해 보이지만, 그 속엔 수천 년에 걸쳐 수학자들이 파헤치려 했던 놀라운 질서가 숨어있다 소수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그 존재만으로도 깊고도 아름다운 진리를 담고 있기에, 인류는 여전히 그 의미를 찾아 헤매고 있다
우리 모두는 어쩌면 소수다 누구와도 나뉠 수 없는, 단 하나의 독립된 존재. 외롭고 복잡해 보일지 몰라도, 그 고유함 안에 조화와 질서를 품은 존재이다 '소수처럼 살아간다'는 것은 남에게 맞추기보다 진리에 비추어 선한 것, 가치 있는 것을 선택하고, 지켜내는 삶을 살아가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p221 사람들은 수학과 통계를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 숫자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가정을 기반으로 했는지 깊이 들여다보지 않으면 오히려 숫자에 속아 넘어가기 쉽다 19세기 영국 총리 벤저민 디즈레일리가 "세상에는 세 가지 거짓말이 있다 그럴듯한 거짓말, 새빨간 거짓말, 그리고 통계다"라고 말한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수학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숫자가 때때로 진실을 가리는 장벽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안타깝다 정보화 시대에는 더욱 많은 데이터바 쏟아지고 있으며, 우리는 수많은 숫자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숫자는 그 자체로 진실이 아니라, 우리가 현상을 요약하고 해석한 결과일 뿐이다 중요한 것은 숫자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우리의 비판적 사고와 통찰이다
어떤 수는 불편한 진실을 가리고, 어떤 통계는 소수의 고통을 보이지 않게 한다 이런 경박한 흐름 속에서 수학이 진실을 외면하는 도구가 되어서는 안된다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서가명강 시리즈 40권이 나왔다
국내 최고 수학 교육학자 최영기 교수님의 <이토록 아름다운 수학이라면> 그 두 번째 이야기이다
전작도 흥미롭게 읽었던 기억이 있어서 이번 책이 더 반가웠다
수학은 일찌감치 포기하고 수포자로 살아오면서 방정식, 미분, 적분까지 갈 것도 없이 숫자와도 멀게 살아왔다
암산으로 계산할 수 있는 것조차도 계산기를 두드리고 간단한 전화 번호 조차도 외우려 하지 않았다
이 책을 읽고 깨달았다 숫자, 기호, 문제 풀이가 수학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사랑, 믿음, 기억, 감정, 시간 등 그리고 또 공기, 중력 등 눈에 보이지 않지만 세계를 움직이는 법칙들이 존재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