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빛>을 리뷰해주세요.
검은 빛 매드 픽션 클럽
미우라 시온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원제는 빛을 뜻하는 光, 그러나 내 손에 놓인 책의 표제는 검은 빛. 어찌 밝음을 뜻한다는 글자로 인지된 것이 번역을 하면서 어둠의 빛, 검은 빛이 되었을까. 작은 의문으로 시작된 책읽기. 

일본 소설 특유의 자극적인 묘사에 우선 긴장하게 되었음이 첫 느낌이다. 작은 섬, 모든 섬 주민이 먼 친척쯤 되는. 그 속에서 항상 폭력에 시달려 멍투성이 다스쿠가 비굴한 미소를 지으면 노모유키는 이를 경멸하듯 바라본다. 그러나 그런 사촌 형 노모유키의 작은 관심을, 따듯한 미소를 기다리듯 줄기차게 그의 그림자처럼 쫓는 다스쿠. 물론 섬 주민 모두는 다스쿠의 멍에, 그의 아버지의 폭력성에 혀를 차지만 결국은 섬의 평화로움을 가장하며 침묵으로 외면하면서 시작되는 검은 빛. 아마 이 섬사람들의 다스쿠를 향한 동정심과 공동의 죄가 되어버린 폭력에 대한 무언의 침묵이 검은 빛이 되어 다스쿠의 가슴에 하얀 태양처럼 비춰지겠지. 

그렇게 시작된 이야기는 노모유키와 미카의 성애 묘사에 침을 꿀꺽 넘기게 하면서 어찌 이렇게 다른 문화를 보여줄까 싶어 책 보기가 잠시 부끄러워지기도 했다, 물론 이 모든 것이 둘이 아니 다스쿠를 포함한 셋이 자연의 폭력 스나미를 만나는 첫번째 장치가 되었지만 그렇지 않았다면 스나미로 이어지는 사건이 보다 빨리 나오지 않았다면 나는 아마도 책을 조금 저급한 로맨스 소설로 치부하는 실수를 했을 것이다.  

그렇게 스나미가 나오면서 이야기는 서서히 빨라지기 시작하고 이들이 훌쩍 뛰어넘는 세월을 두고 변하는 모습이 뒤로 이어지는 성인이 된 이들의 잠재된 폭력성과 맞물려 독자들을 빨아들인다. 

정직하고 성실한 가장을 앞세우는 노모유키와 아직도 진정한 따뜻함에 목말라하는 다스쿠의 지독한 몸부림, 그리고 미모를 앞세워 누군가를 자기 대신 폭력을 휘두르게 만드는 마력의 소유자 미카까지, 셋은 자연 폭력과 더불어 인간 군상들의 폭력까지 세월과 더불어 성장하는 모습으로 독자들의 가슴을 뛰게 만든다. 물론 그 속엔 그들의 폭력에 휘청거리지만 결코 그런 모습조차 보이지 않으려는 가여운 주변 인물들도 나온다. 

 그랬기에 읽는 내낸 일본 소설에서만 느껴지는 특유의 섬세한 묘사와 더불어 글의 단단한 짜임새. 사건의 얽힘과 그 빠르기 모두가 충분히 만족스러웠다. 물론 지독한 애정의 묘사는 그리 달갑지 않았음이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