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 도자 이야기 - 유네스코 세계 공예 도시 이천 도자의 어제와 오늘
조용준 지음 / 도도(도서출판)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도자기들이 유명한 것도 있지만 왠지 몰랐다고 해도 다소 투박하고 촌스러운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화려한 일본 도자기이나 유럽 본차이나들은 어딘지 우리것들과 다르다.작가의 이천도자기 여행을 따라가면 사옹원이 있던 이천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책은 조선에서 도자기를 만들었던 조선 사기장들의 이야기부터 시작된다.임난이후 피폐해진 사기장들의 삶은 현실에서 더욱 절실하게 도자기를 빚었을 것이다.신분제사회의 냉대속에 조선 사기장들이 일군 이천의 가마와 그들의 후손들이 이어 나가고 있는 조선 도자기의 전통이 어떻게 발전해왔나...고려청자에서 완전한 백자로 변신한 조선 도자기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조금만 관심을 갖고 들여다보면 백자가 청자보다 만들기힘든만큼 그만큼 사기장들의 피땀을 많이 간직한다.

사옹원은 조선왕실이 최초로 도기를 굽기 시작한 곳이다.
백자들의 단순한 그림은 묘사가 서정적이랄까.도자기표면의 단순한 그림들은 산화철을 사용해 꽃과 인물들이 살아 숨쉬는 듯 때로 생생하게 느긋하게 그려졌다.이따금 산수를 그려넣는 조선도공의 섬세한 묘사가 놀랍다.
내용이 심미적이면서도 미술사가의 호기심을 채워준다고나할까..책내용이 도자기들이 소재가 된 이야기라 내용이 화려하지 않아도 상당히 섬세한 일러스트레이션같다.뿐만 아니라 아이들만아니라 어른을 위한 미술책같기도하다.작가의 사진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매력적으로 느껴진다.청화백자의 묘사가 더 섬세하다.
풍부한 .역사적 내력이 숨어 있음을 백자들을 통해 알리면서 작자는, 이 우리 도자기에 대한 자세하고 친절하게 설명한다.하지만 조선도자기의 진가를 일본인이 알아챈건 서글프다.우리도자기는 어떻게 일본 열도로 퍼져 나갔을까? 그것은 그들의 안목과 투자이다.도자기를 통해 조선미술의 아름다움을 본다.자기속에 마법처럼 생명있는 존재의 신비함과 장인들의 생명의 매혹을 발견하고 독자가 매료된다.지면을 통해 느끼는 도자기의 분위기가 먼 옛날 조선 세계로 돌아간 듯하다. 도자기들의 생명력을 통해 조선의 아름다움을 깨닫게 된다.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제로 인정하고나서 우리는 뒤늦게 조선백자에 관심을 갖게되었다.이제 우리 백자들에대한 여행을 떠나보자.우리의 전통에 깃든 예술혼을 실감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