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
배삼식 지음 / 민음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들은  고향을 잃은 만주에 기거하는 조선족들이다.그런데도 우리눈에는 이상하게 여겨지지만 아주 그시대에는 흔한 인물들이 해방전까지 불편함없이 잘 살아왔다. 아마 그들은  광복후에 누구나  조선으로의 귀환을 꿈꾸지만   항상 행복한 결말로 이어지지않는다는 걸  본능적으로 일찌감치 인지한 것다.특히  가족과 부모의  죽음과 이별후 에   조선족들사이에 친구와 타인에게 받은 상처가 자신도 모르게 내면에 쌓여있는 것같다..그러면서도 전재민구제소에서 귀환을 준비한 걸보면  조국에 대한 애틋한 정을 갈구한 것아닐까? 보수적인 늙은이들은  당연히 혼란한 시대상의 젊은이들의 자아를  이해하지못하고 전든대적인 사고에 갇혀있다.그 와중에 만난  위안소를 탈출해 산전수전을 다겪은 일본여인과 조선여인은 용케 서로를 이해한다.

 결국 주인공들은 구제소에  입소하여 생각지않은 자신을 발견한다.아마 충격이 컸겠지만 그렇게 정신적으로  떠돌면서 자신을 발견하려는 시도같다..

여기서 시대의 고난과 외로움에 차 있던 그녀들의 갈등과  개인적인 내면의 삶의 방식이 드러난다.정상적인 삶대신 일본인군대의 노리개로 강요된 삶을 살아야했던  그녀들의 내면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할까?
   조선과 일본이  왜 자신들을  버렸는지 이해못하는 주인공들은 한마디 원망도 없이 고향에  들어가   자신에게 쌓인 삶의 문제와 시대의 무정함을 돌아보러 한다.

 시대의 횡포로 인생이 망쳐진 사람들은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고 살아가다 구제소에서 만난 여러 인간군상들과의 교류에서 자신들의 문제를 발견해가며  서로를 알아가는 것도 인생의 과정이다.

 주인공들은  그시대 조선인들도 일본인들도 그랬듯이 시대를  이해를 못하고  떠돌며 방황하고 해방이 되었다지만 하층민들의 삶은 여전히 혼란스럽다.조선은 그들을 돌봐줄 여력이 없었다.혼란한 시대의 와중에 하층민의 삶은 여전히 힘겨웠다.

   그들은 이야기끝에서 인생은 이런 것이란 걸 느끼게 된다.

 자신이 내면이 어떤 상태인지부터 아는 게 중요한 것같다.왜 조선인들은 억눌린 감정은 없는지,분노와 원망은 없는지..만일 있다면 원인은 무엇인지 ..생각조차 해보지않고 시대의 압력에 굴복해 살아갔다는 문제의식조차 희박했다..주인공들은 원인을 알지못한채 일제의 압박과 시대의 조류에 흘러간 인간군상들이지만  불구대천지원수같은 일본인여인 미즈코과 조선인 명숙을 통해 생존에 대한 의지를 놓지않는다. .그것이 이 작가의 작품의 호소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