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전가 - 배삼식 희곡
배삼식 지음 / 민음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의 1950년를 배경으로 소설의 가족들은  해방되었지만 전과 달라진것보다 더 혼란한 것도 있었다.미국과 소련으로 나눠져 이념을 별나게 좋아하던 시대 왠지 몰랐다고 해도 촌스러운 느낌이 드는 커피나 초콜릿이란 말은 주인공에게는 신비감의 대상이었고 딸들은 그런 노모의 사고를 따라간다,화전놀이란 그런 시대의 사고의 갈등이 드러나는 곳이었 다.화려한 봄꽃놀이들은 기대와 다르다.주인공의 회고를 따라가면 우리 조선사람들의 애환은 일제시대때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책은 망국에서부터 해방을 거쳐 가족을 일구고 자식을 만들었던 조선할머니의 이야기부터 시작된다.낯선 시대에서 더욱 절실하게 가족위 가치를 지키자고했지만 가족애를 중히 여겼을 그녀의 사고는 이미 구시대가 일군 낡은 사고였다.한국의 혼란한 시류와 유행을 따라 서울가 공부한 딸과 이념때문에 감옥에 갇힌 그녀의 자식들이 이어 나가고 있는 현재생활에 한국의 전통이 어떻게 이어지고 발전해왔나는 관심밖이었다... 완전한 현대 색(色)으로 변신한 자식들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조금만 관심을 갖고 들여다보면 그만큼 자식들과 부모세대의 부작용과 부적응의 갈등과 괴로운 숨결을 많이 간직한다.

그러니 화전놀이란 온갖 탄식이 쏟아져 나가는 장소로 알게모르게 한을 간직한 곳이다.여인들만 모여 세태에대한 비탄과 원망 자조적이 푸념이 쏟아지는데 어쩐지 눈물이 난다.

비극적 역사적 배경,숨기고 싶은 맥락의 내력이 숨어 있음을 가족들의 사연을 통해 알리면서 작자는, 이 시대를 늙은 어머니 그녀의 안목에서 서글프게 바라보고 있다.그런데도 자식들은 아우성을 치며 각기 공산주의의 소련과 민주주의의 미국만을 바라보고 그들의 인생과 정열을 쏟는다.그런데도 어머니생일에 모여 고모 며느리 딸들의 이야기..6.25전쟁바로 직전 한국인들의 사고와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우리 어머니 할머니들의 처연한 그리고 다소 비극적이기까지한 시대를 돌아봐야한다.과연 한국인이 현대를 살아나가려면 어떤 사고를 가져야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