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구술사 - 현대 한식의 변화와 함께한 5인의 이야기
주영하 외 지음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식이라면 우리의 전형적인 음식문화고 밥국반찬을 제외한 음식문화가  부잣집의 별식이던 시대가 있었대요.어느새 배고픈 시대의 빈곤이 가고 간장이나 전통궁중요리도 우습게 여기는 먹을 게  누구에게나 풍족한  전유물로 되서 너무 흔해진 시대가 되었네요.어릴 적 엄마가 만들던 간장생각이 나는 때에 냄새만으로도 행복하던 시절을 잊고 있다가 나이들어 나도 한국문화에 대해 뭔가 알아야겠다 생각에 책을  찾게 되었어요..

한식메뉴가 이리도 다양하게 나올지 몰랐네요.재료와  계절따라 각각이네요.

주식인지 간식인지 구분이 안될 정도로  신기할 정도로 맛깔나네요.제철재료를  넣은  한식의 호텔요리는  다양한 색과 모양이 찬란하네요.외교관례에 내는 전통요리가  이리 수십가지인 걸보니  우리의 전통요리 숙수나 상궁들도  요리에대한 장인정신이 있었던거군요.그들에게 요리를 단순한 가사노동이 아니라 사명이었나봅니다.특히  장류를 개발대상으로 여겨 샘표간장을 만든 오경환이나   밀가루달인  김성곤같은..그들덕에 우리는 현대의 편리한 식재료를 즐길 수 있네요.

주부들이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직접 만드는 한식에도  좀더 친숙하게 되었으면 해요.흔한 냉동식품인 인스턴트푸드를 배격합시다.

책을 좀 보고 따라하면 요리집에 외식하러 나가지않더라도 집에서 자신만의  한식을  즐길 수 있겠군요.여자라서 요리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시도해볼만한 일이 이런  일인지도 모르겠네요.꼭 요란하고 화려하게 차리고 유명한 데만 돌아다니는 게  센스가 아닙니다.요리를 배운다면 한식요리를 한번쯤 배워두면  충분히 솜씨를 낼 수 있군요.

궁중요리를 상궁들만 아니라 좀 가도있는 집이라면 자신뿐 아니라 남을 배려하기위해서도 한두가지라도 특별레시피를 배워두면 충분히 즐길 수 있네요.어쩌면 프랑스나 이태리같은 나라의 외국인들이  자신들 조국의 요리에 뛰어난 건 마음씀과 자존심때문인지도 모르겠네요.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자신만의 센스있는 전통요리를  만들수 있겠네요.

식품회사창업주들이 맛만 좋아하는 이들인 줄 알았는데 사업뿐 아니라 요리에도 이런 섬세한 데가 있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