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 공부의 정석 - 초등부터 고등까지 수학,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공부해 내는 법
정근창 지음 / 포르체 / 2023년 6월
평점 :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01_3.jpg)
아이 5살무렵 집에서 ㄱㄴㄷ을 알려주고 알파벳을 알려주기 시작하면서
홈스쿨링으로 학습을 이어온지 10년차,
어엿한 중학생이 된지도 3개월이 지났네요.
인강이나 화상영어정도의 제가 해줄 수 없는 부분들을 채워줄
최소한의 사교육으로 공부를 시키며
절대 학원은 보내지 않겠다며 고집스럽게 공부를 시키고 있어요.
일명 학군지에서 20년가까이 강의와 학원운영, 학습컨설팅을 하면서
제대로 사교육 밥을 얻어먹고 살았던 엄마이기에
이렇게 학원없이 아이를 키우는게 어찌보면 모순일 수 있고
주변에서는 불안함이 없냐고 묻지만
내가 내 애를 제일 잘 아는데 나만큼 잘 봐줄 수 없다라며
뻔뻔하게 버티고 있네요.
이런 자신감 뒤엔
저의 경험이 제일 큰 바탕이 되겠지만
수많은 조언을 받을 수 있는 양육서, 교육지침서의 공도 커요
물론 그 내용이 제가 가진 교육방식의 결과 다르기도 하지만
나와 다른 생각과 방식으로 교육을 시켜나가는 분들에게서
큰 공감이 오는 부분들에서 배울건 배워나가고
또 이건 아닌데 하는 부분들은 과감히 버리기도 하며
조금씩 방향을 조정해나가고 있어요.
최근 포르테 출판사에서 출간한 <수학 공부의 정석>이란 책을 만나보았어요.
아무래도 홈스쿨링의 주축을 이루는 수학이기에
제목부터 큰 관심을 갖게 만들었지만
과연 수학 공부에 있어서 정석이라는 것이 있을까 하는 생각도 내심하면서
책을 들었습니다.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02_4.jpg)
공대를 졸업하고 일반 회사를 다니다가 급 수학 학원을 시작한 글쓴이.
학원뿐 아니라 유튜브도 운영하고, 수학레벨테스트 개발과 인강, 개념서 집필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계시네요
저 역시 공대를 졸업하고 과학이 아닌 수학을 가르쳐왔기에 반가운 마음도 살짝 들었구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04_4.jpg)
처음 이 책의 제목을 보고
과연 작가가 말하는 수학 공부의 정석이란게 과연 무엇일까
이 책이 담고 있는 내용이 수학공부법일까 아니면 커리큘럼제공일까 하는 수많은 의문들이
프롤로그에서 어느정도 해소되네요.
무조건 선행 진도로만 아이의 학습 성취 여부를 가늠하는 지금의 부모들과
이런 부분을 노리고 책임감없이 선행에만 매진하도록 종용하는 학원들에 대한
아쉬움, 문제점을 짚어주고
내 아이를 제대로 살피고
이에 맞는 제대로 된 수학 학습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내용들을 담고 있을거로 생각됩니다.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08_2.jpg)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있고
수학 교육 전체 로드맵, 수학 학원 사용법, 올바른 수학 학습으로 가는 길, 수학에 필요한 근력 키우기로 주제를 잡고 있네요.
소제목들을 살펴보기만 해도 수학 학습에 대해 다각도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어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10_2.jpg)
책의 시작 전 들어가기에서
책에서 다루는 내용들 중 시기별 로드맵을 축약해놓았는데요
전체적인 흐름도 확인할 수 있고,
책을 모두 읽고 난 뒤 정리하는 마음으로 다시 한 번 보기에도 좋더라고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12_2.jpg)
가장 처음 다루고 있는 수학 교육 전체 로드맵이란 주제는
미취학부터 고등까지의 수학 학습에 있어
시기별로 생각해보고 주의해야할 것들을 다루고 있었는데요
작가의 직간접 경험이 적절히 들어있어
개인적으로 읽는 동안 많은 공감을 할 수 있었던 내용들이었어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15_2.jpg)
학원을 다녀도 집에서 공부를 해도
엄마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고민은 늘 선행과 심화의 선택에 있어요
대부분의 학원이 심화보다는 선행을 선호하는 편인데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심화보다는
아이가 들고 다니는 교재, 학원 강의에서 딱 어디라고 말해줄 수 있는 선행에 대한 만족도가 높죠
그 시작이 되는 미취학 아이의 수학 선행 학습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temp/IMG_1716_1.jpg)
미취학 아이의 수학 학습에 대한 소주제로 시작하지만
사실 이 부분은 책의 시작인만큼 초,중등 아이들을 포함한
전반적인 수학 선행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기에
꼭 미취학 아이를 키우는 학부모나 교사가 아니더라도 차근차근 읽어나가는게 좋겠네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18_2.jpg)
선행의 문제점과 함께 초등 수학을 다루는 부분에서는
또 다른 고민 주제인 심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19_2.jpg)
이전 선행에 대한 의견과 함께 심화에 대해 다루는 내용 역시
개인적으로 참 공감가는 내용들로 담겨있었어요
선행 학습을 했건 안 했건.
모두가 특정 범위에 대해서 시험을 치고
해당 범위에서 누가 어려운 것을 풀어낼 수 있는지를 가리는 승부지
진도를 얼마나 빨리, 많이 나갔냐를 겨루는 것이 아니다.
참 명확한 정리인 것 같아요.
물론 적당히 평균만 하자고 생각하면 답이 다를 수도 있겠지만
아이의 수학 성적에 관심이 있다면,
상위권을 목표로 한다면 한 번쯤 생각해보셔야할 것 같아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temp/IMG_1721_1.jpg)
아이가 중1이다보니 더 관심있게 읽으며
한 번 더 크게 공감한 내용을 다루고 있던 부분이에요
실제로 같은 중1 아이들을 키우는 엄마들이 많이 하는 말이에요
시험 한 번 보고 된통 당해야 정신차리고 하겠지.
그런데 첫 시험과 점수가 가지는 의미를
앞으로 아이가 가질 수학에 대한 자신감으로 매칭하고 보니
그래 그럴 수 있어, 자칫 수포자의 길로 들어설 수도 있겠구나 란 생각이 드네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23_1.jpg)
어중간한 초등 수학 실력으로 일찍 중등 수학을 시작하여
진도 위주의 어설픈 선행 학습으로
그렇게 중1 과정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2~3학년 과정을 배우느라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를 너무 많이 보았다.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25_1.jpg)
실제로 저 역시 이같은 경우를 너무 많이 보았기에
다행히 그동안 아이의 학습이 깊이있게 진행되도록 신경써왔고
책을 읽는 내내 공감과 다행스러움을 느꼈습니다.
사실 주변에는 열에 아홉은 선행으로 아이의 학습성취를 판단하는 분들이 많아요.
혹여 선행에만 매진하는 분들이 계시다면
다시 깊이 고민할 계기가 될거라 생각이 들더라고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26.jpg)
이렇게 선행과 심화의 선택에 대한 고민과 조언이 끝나고
시기별 유의사항(주의사항)이 이어지는데
실제 학교 현장, 학원 현장의 상황을 예로 들며
제대로 된 수학 학습을 위한 공감과 조언, 설득과 함께 꼼꼼하게 챙겨주고 있었어요.
물론 내 아이의 학년에 맞는 부분에 관심이 제일 가겠지만,
앞서 미취학과 초등과정을 다룬 내용이 중 고등 아이들에게도 이어져 반영되듯
차근차근 읽어나가시면 모두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라 정독하시길 추천드립니다.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28.jpg)
2장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많은 학부모들이 공감할만한 수학학원에 대한 이야기에요
"어머니, 지금까지 뭐 하셨어요"
참 많이 들어본 이야기지요
불안감을 조성해서 우리 아이만 뒤쳐진듯한 느낌이 드는 이 이야기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30.jpg)
책을 읽어나가면서 정말 많이 공감했던 파트에요
대개 부모들이 '나는 잘 모른다'는 마음으로 학원 문턱을 넘기에 지는 싸움일 수 밖에 없다는 말.
다른 아이에게는 옥이라도 내 아이에게는 그저 돌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
최소한의 가드는 올리고 사교육의 문턱을 넘으라는 조언이 너무 공감갔어요.
제 주변에서도 실제로 학원을 고르면서
이런 지는 싸움을 하는 엄마들이 많다보니
저에게 학원이나 레벨테스트에 대해 고민을 털어놓는 분들이 많은데요
그 때 제가 많이 하는 이야기가
최소 우리 아이가 어딜 배우고 어떤 교재를 풀고 어떤 교재가 더 맞을거 같고
이러이러한 교재들의 특징에 대해서 알려주고
학원가서 최소 이정도는 내가 알고 있는 엄마다라는건 어필하라고 얘기하거든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36.jpg)
학원을 선택하든 홈스쿨링을 진행하든 엄마의 도움이 필요할 때
제발 모른다고 학원에서 시키는대로 하면 되겠지 눈 감지말라고 이야기하곤 해왔어요.
다 초등학교, 중학교는 나왔는데 왜 자신감이 없냐고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하면 다 아는거라고 솔직히 게으른거라고 잔소리를 늘어놓기도 했지요.
이 책을 읽으면서
이젠 잔소리보다 이 책을 권해야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어요.
혹 이런 생각과 태도로 학원과 지는 싸움을 하고 계시다면
꼭 이 책을 읽어보시길 권하고 싶어졌어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40.jpg)
이어지는 3장과 4장은 앞선 내용에서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을 바탕으로
실전과 실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3장에서는 현행, 선행, 심화의 분배에 대한 이야기
4장에서는 수학에 필요한 근력을 키우기위한 아이와의 관계 개선 방법, 수학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져있어 책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유도하고 있어요.
![](https://image.yes24.com/blogimage/blog/t/u/tuddlekd/IMG_1742.jpg)
지난 선택을 후회할 필요는 없다
공식은 없다, 하지만 방향은 있다
사실 저 역시 초등 수학 교육에는 문외한인 엄마라서
아이 초등 저학년까지는 응용까지만 진행하고 선행학습만 했었어요.
책에서 다루고 있듯
저 역시 주변 엄마들과 아이들의 진도에 신경이 쓰이고
우리 아이가 수학을 잘하는 아이가 되려면 빠른 선행이 답이라고 생각했었지요
그 후 고학년 올라와서 아이가 산수가 아닌 수학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심화 수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한 두권씩 진행해왔어요
선행보다는 반복, 복습, 심화에 포커스를 두고 진행하다보니
주변아이들보다 선행 진도는 많이 느린편이어서
선행보다 예습에 가까운 진도를 나가면서
순간순간 이게 맞는가 고민도 하고 불안함도 느꼈었는데요.
어느 순간
앞선 내용을 깊이있게 확실히 이해하다보니
다음 개념학습이 빠르게 진행되고, 문제 푸는 속도도 현저히 빨라지고
이해도가 높아지더라고요.
이렇게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 올라가다보니
아이가 그렇게 지루해하던 수학을 즐기게 되는 것도 느꼈고요.
중등에 올라간 지금 아이의 수학 학습에 있어서도 심화에 힘을 싣고
각 학기별로 개념서1권 응용서1권 준심화1권 심화서3~4권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많은 심화서를 풀고 있음에도 빠른 이해와 높은 성취를 바탕으로
진도에 욕심을 부리지 않았음에도
최종적으로 2~3년 선행을 자연스럽게 진행하고 있더라고요.
저는 이 책이 담고 있는 내용이
제가 아이의 학습을 계획하고 진행하며 가지고 있던 신념과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었고
작가의 직,간접 경험에 저의 경험까지 더하다보니
확실하게 올바른 길이라고 믿고 있어요.
수학 학습을 위한 지름길, 치트키가 아닌
제대로 된 정도, 정석.
그게 오히려 더 빠른 길이 된다는 걸
이유부터 방법까지 확실하게 이해하고 싶으시다면
포르체의 "수학 공부의 정석"
진심을 담아 적극적으로 추천드리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