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소금 2024.4
빛과소금 편집부 지음 / 두란노(잡지) / 2024년 4월
평점 :
품절


<빛과 소금>을 열렬히 애독하던 시절이 있었다. 202년 전의 일이다

그때는 월말마다 늘 기다리던 책이었다. 오랜만에 손에 든 

<빛과 소금>은 책의 크기나 내용 면에서 많이 달라졌지만 읽으면서 받는 감동은 여전하다

많은 기독교 잡지들이 사라지고 있는 시대에 이렇게 기독교 잡지로서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것에 감사 드린다

"온누리에 전하는 좋은 소식" 예수님의 부활이 먼저 떠오른다.

하지만 복음 그 자체가 온누리에 전하는 좋은 소식이다.






표지가 산뜻하다. 누군가에 전할 소식에 날개가 달려 있다. 마음이 간다.

내가 알고 있는 좋은 소식을 그냥 마음에만 묵혀두지 못하는 사람들이 예수님을 만난 사람들이다.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증인들이다. 그 증인의 삶이 기쁘고 기쁘다.

증인의 삶에 대해 여러 페이지를 통해 어떻게 증인이라는 것을 드러낼 거인가를 이야기하고 있다.



빛과 소금, 이 단어가 주는 무게감은 엄청나다. 우리는 빛으로 소금으로 살아야 하는 이유를 분명히 안다.

그 사명을 이 기독교 잡지인 <빛과 소금>이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세상을 빛으로 깨우고 소금으로 섬기는 크리스천을 세우는 것이 어디 그리 쉬운가.



이 일을 묵묵히 사명으로 알고 지금까지 해내고 있는 <빛과 소금>이 있기에 힘을 얻는다.

박형대 목사가 말하는 <증인의 가치>는 보고 듣고 경험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것 외에는 없다. 그러므로 증인으로 소개되는 것이 자랑스러워야 한다.

제자들도 처음부터 증인으로서삶이 능숙하지은 않았다.

실수도 하고 실패도 했지만, 하나님을 경외하면서 점점 더 자신의 자리를 바로잡음으로

언제 어디서나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증인의 삶을 살았다는 말에 격하게 공감한다.







증인의 삶에 필수가 되는 것은 전도이다. <목사님! 전도가 궁금해요>

전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그래서 전도를 재정비하는 시간이 되었다.

한 사람의 전도자가 얼마나 대단한 결실을 가져오는 지를 알게 하고 보게 하는

<임자도의 사도 요한, 이판일 장로를 아십니까?>에서는 충격을 받게 된다.

이렇게까지 헌신하는 사람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가 확장되고 

영혼의 구원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다시금 감동했다.






<삶이 곧 전도입니다> 답답한 가슴을 뻥 뚤리게 하는 문장이다.

알고 있지만 실천이 안되는 삶의 연속이었다. 다시금 마음을 가다듬게 한다.

그동안 한국교회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복음의 전함>의 광고는 신선하다못해 박수를 보낼 수 밖에 없다.

빛과 소금에서 이러한 <복음의 전함>의 기사를 통해 세상의 다양한 이슈를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조명하고 있다.



그동안의 전도는 전도지나 물티슈를 주는 것으로 만족해했다.

하지만 <복음의 전함>의 광고 전도는 기독교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주고,

다양하고 좋은 컨텐츠를 통한 전도라는 새로운 장르를 

유튜브에 익숙한 젊은 세대들에게 전하는 좋은 전도 방법이다.








전도는 어렵다는 관념을 <빛과 소금, 온누리에 전하는 좋은 소식>은 한꺼번에 무너 뜨린다.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전도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준다.

작은 책이 알차다. 전도에 최적화 된 특집이라서 너무 감사하다.

전도를 두려워하는 이들에게 전해 주고 싶은 책이다.

 

 

 


 

 

**두란노에서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