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태초에 설계되었다 - 생명의 기원, 과학과 논리로 밝히다
김광수 지음 / 바른북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인간은 언제이고 한 번 이상은 내가 누구인지를 묻게 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그런 물음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고 한다. 내가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알려면 자신의 생물학적 근원을 알아야 한다. 이런 근본적인 질문에 답을 하려면 내 생명의 출발점인 생명의 기원에 대한 물음이 필요하다. 이러한 생명의 기원에 대한 답을 얻게 될 때 인생의 정답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많은 이들이 자신이 누구인가를 모르고 살아간다. 자신의 존재 근원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모른다. 그래서 누군가 주장한 학설에 자신의 존재 근원을 꿰맞춘다. 그것이 이 책에서 저자가 말하는 생명은 태초에 설계되었다라는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인간은 원숭이가 조상이라는 해괴망측한 이론에 사로잡혀 자신의 조상이 원숭이라는 인식을 한 번도 거두지 않고 믿고 살아왔다. 그렇다면 지금도 아마존의 어느 숲속에서 원숭이가 진화되어 인간이 되었다는 뉴스가 거의 매일 우리 귀에 들려야 하지 않을까?






저자는 생명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했다. 수십 년간 진화론에 대한 공부를 한 저자는 생명체의 모든 것이 우연히 생겨났다라는 다윈의 생각에 결코 동의하지 못하고, 의문을 가진 채 30여 년의 도전 끝에 단위 진화의 원동력이 자연 선택은 그 선행조건이 불가능함을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다윈의 진화론은 생물의 가변적 측면만을 보고 불면성을 외면함으로써 시작된다. 생물의 가변성은 한 측면일 뿐 생물의 본질은 불변성에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현대 생물학에서 다윈의 진화론은 과학적 사실이나 정설로 대접받고 있는 한심한 현실이다. 속히 이러한 다윈의 진화론의 오류를 바로잡아야 한다.


저자는 자신이 주장하는 생명 시스템 이론을 통해 다윈의 진화론이 허구라는 논리를 과학적으로 증명하려고 한다. 저자는 다윈의 진화론이 허구임과 동시에 저자가 따라가는 이론은 자신이 주장하는 생명 시스템 이론이지만 그 기본은 창조론에 입각해 있다. 그러므로 저자의 주장대로 모든 자연 규칙이 불변하므로 이러한 자연 규칙은 태초에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생명이 태초에 설계되고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지금의 지구는 이 우주 속에서 하나님의 먼지로밖에 남지 않았을 것이다.


저자는 전체적으로 창조론을 따르면서 자신의 이론인 생명 시스템 이론을 통해 진화론을 논리적으로 반박한다. 이러한 저자의 끈질긴 학문에 대한 탐구가 30여 년이 되었다니 놀라움을 금할 수가 없다. 진리를 가로막고 있는 진화론은 학문이라는 거대한 탈을 쓰고 지금도 우리 곁에서 그 맹위를 떨치고 있다. 저자가 주장하는 다윈의 오류를 이제 말끔히 밝혀야 할 때다. 저자가 주장하는 생명 시스템 이론은 꽤 흥미롭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