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 - 우리 시대를 읽기 위한 최소한의 인문 배경지식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
주현성 지음 / 더좋은책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서평]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 2 [주현성 저 / 더좋은책]

 

출간 5개월 만에 10만 독자의 선택을 받으며 '대한민국 인문학 교과서'로서 스테디셀러로 자리잡은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1"편에 이어 이번에 출간된 "지금 시작하는 인문학2"편에서는 1편에서의 미술, 회화, 미학에 대해서 다루지못해 아쉬웠던 부분을 채우고 1편과는 다른 분야의 인문 지식에 대해 다루고 있다. 1편에서 심리학과 모네 이후의 회화, 세계의 역사, 현대 이전과 현대의 철학,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 등을 세계화를 다루었다면 이번 2편에서는 1편에서 다루지 못했던 원시미술에서부터 모네 이전의 회화까지를 다루고, 시대에 따라 흘러간 문학에 대한 변화와 과학적 철학, 사회 이론에 대해 주장을 펼쳤던 대가들, 미학의 역사와 대중문화에 대해 이야기한다.

 

회화, 미술의 근본적인 시점인 원시시대의 미술에서부터 이집트 미술, 그리스, 로마 미술, 중세미술, 르네상스, 바로크,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사실주의와 자연주의까지 모네 이전까지의 예술에 대해 시대적 흐름과 변화와 인물들, 시대를 대표했던 작품들 이미지와 작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들이 역사적으로 변화한 미술의 전체적인 흐름을 흥미롭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책을 읽는 사람들은 누구나 흥미를 가질만한 부분은 이 책의 2장인 문학과 문예사조 편이었는데, 여기에서는 그리스 문학의 신화와 설화에서부터 서양문학의 시초인 그리스 로마신화, 라틴문학, 이탈리아, 르네상스, 고전문학 등 세계의 문학을 시대적 흐름으로 파악할 수 있고, 그 시대의 삶과 삶의 의미를 표현하는 세계의 대가들, 대가들의 명작들, 작가들마다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한다.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학의 역사에 대해 이보다 더 이해쉽게 설명할 수 있을까싶다.

 

평소 인문학에서 다루지 않는 과학에 대해서도 다루었는데 수학과 과학을 발견하면서부터 자연과 과학의 균형과 조화로 인한 다양한 철학사에 대해서도 접할 수 있었다. 또한 우리 인간이 살아가는 사회 모습을 분석하며 사회학이론의 초기모습에서부터 현대구조주의적 이론까지 사회의 흐름과 그 흐름에 따라 변화한 다양한 사회이론들을 보여주며, 여기에서 제시했던 여러 다양한 학자들, 거장들도 만나볼 수 있는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미학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야기에서부터 시작해 미술의 시각과 이야기에 근본적인 개념과 본질, 철학, 문화의 변전사, 대중문화까지 흥미진진하게 접할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미술을 공부해서 회화의 흐름을 알고있었는데, 각 사회의 여러 사건들로 인해 변화하는 자세한 흐름들을 전체적으로 크고 쉽게 이할 수 있는 내용들로 작품의 설명도 너무 잘 되어있어 두껍지만 읽기에 부담없고 재미있었다. 이번 2권에서는 중요한 사건들로 인한 사회의 변화, 흐름, 시민들을 대변하는 작가들, 학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쉽게 이해하며 평소 몰랐던 과학적 철학들과 사회이론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세계적으로 유명해서 누구나가 다 알만한 작품들과 주장들 외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지만 시대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던 작품들과 인물들 등 재미있게 접하고 배울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1편에서도 느꼈지만 두꺼운 책으로 인문학을 자세하면서도 쉽게 다루었지만, 다양한 분야별로 알아보는 인문적 지식에는 알아도 알아도 끝이 없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