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 드로잉 노트 : 사람 그리기 이지 드로잉 노트
김충원 지음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서평] 이지 드로잉 노트 (사람 그리기) - [김충원 저 / 진선아트북]    

  "이 책은 당신 안에 숨어 있는 창조력이 단단한 껍질을 뚫고 당당히 나올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책장을 열면 가장 먼저 이런 문구로 나의 자신감을 일깨워준다.

  일단 표지 자체가 심플하고 귀엽다. 또 책의 내용과 제목답게 책 안에 있는 글씨체도 너무 귀엽고 보기 편하다.

  책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그리기 관련 책들의 공통점인 선긋기, 기본 도형 그리기를 시작으로 조금씩 모양을 갖춰나가는 시나리오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목 처럼 쉽게 그리고 간단하게 그릴 수 있도록 독자를 생각해서 심플하면서도 지루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사람을 스케치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으로,

  우선은 쉬운 동그라미, 세모, 네모 와 같은 친숙한 도형으로, 여러가지 표정들을 그리기 연습을 제시한다.

  그림의 기초는 '선'이다. 선들이 모여서 하나의 그림을 완성해 나간다.

                  

 

  그 다음은 전 단계보다 조금더 추가된 모습으로~ 다양한 표정과, 헤어스타일들이 추가되었다.


                  

 

  다음 단계는 몸까지 그려보자~ 그렇면 사람의 머리 끝에서 발 끝까지 귀여운 모습으로 하나의 일러스트가 된 셈이다.


                  

 

  이제는 여러가지 이목구비들~사람들은 다 각기 다른 이목구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이목구비들이 그 사람의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귀여운 이미지가 될수도 있고, 섹시한 이미지, 이쁜 이미지, 잘생긴 이미지 등등의 얼굴을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기에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다음은 손과 발 연습이다~ 손가락도 접었다 폈다~ 발가락도 꼼지락꼼지락~ 실제로 내 손과 발을 보고 그려봐도 좋을 듯 싶다.^^


                  

 

  얼굴에 들어가는 이목구비 비율도 잘 맞춰보고~                               두상에 대해 옆모습, 윗모습, 아래모습 등도 연습해본다.

 

                  

                                                                                    

  옆의 그림도 따라서 머릿결~ 표정도 자세히 그려보고~                        테두리만 그려져 있는 스케치에 윗 그림도 따라서 연습해보자~

                  

  전체적인 큰 형태를 먼저 잡고~ 점차적으로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써서 스케치 해주는 형식으로~ 완성이 된다. ^^!!


 
  
  마지막으로 자신의 얼굴도 한번 그려본다~

 

이 책은 서평에 꼭 사진이 있어야 할 책이라 판단되어 사진을 첨부했다.

이와 같이 쉽게 드로잉의 시작부터 완성, 끝까지 기초에 대해서 두껍지 않은 얇은 책이지만 설명과 과정은 참으로 잘 되어있다.

그림에 관심은 있었지만 자신이 없는 사람들이나, 그림을 그리고 싶어하는 아이들이나, 만화가나 일러스트레이터가 꿈인 학생들이,

아이들과도 함께 따라 해보면 창의력, 관찰력도 발달되고, 그리 어려운 책이 아니기에, 참 좋을 듯 싶기도 하다.

어렵지 않고 쉽게 스케치와 친숙해 질수 있는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오래 전, 학창시절 그림으로 입시를 본 나는 오랜만에 접해본 스케치 관련된 책을 보고 신나서 재미있게, 이 책을 접했다.

그림 초보도 이 책을 보고 하나하나 반복해서 연습하면 그림에 대한 자신감도 생기고, 꼭 좋은 성과가 있을꺼라 믿는다.

이 책은 친척 꼬맹이한테로~~~ 혹시 알아~? 인물화 잘 그려서 먼 미래에 지금의 반고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될지~?? 후훗^^ 화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