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재발견 - 내 인생의 마지막 터닝포인트를 위하여
하르트무트 라데볼트 & 힐데가르트 라데볼트 지음, 유영미 옮김, 하정화 감수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나의 전성기는 60세부터 90세까지 30년이었다."

 

정신병리학과 심리분석을 전공하여 40년동안 노인의 발달과정, 심리 치료, 분석, 심신상관학을 연구해온 하르트무트 라데볼트와

도서관 사서 활동을 하고, 어린이와 책 비평활동을 수십년간 꾸준히 한 힐데가르트 라데볼트는 중년의 나이에 새로운 인연을 맺은,

[인생의 재발견]의 저자들이다.

탄생을 하여 자연스레 흐르는 시간에 누구나 노인이 된다.

은퇴, 노화, 자녀의 독립, 배우자와의 사별...세월의 흐름에 오랜 세월풍파를 다 겪은 노인이 된 저자의 이책은 많은 것을 느끼게 한다.

우리나라도 60년 전 일본의 점령, 북한과의 전쟁의 아프고 힘든 경험을 겪은 분들이 지금은 노인이 되어서 우리 주변에 계신다.

이 책은 노인을 바라보는 관점, 노인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와 노년을 대처하는 자세 등.. 노후를 위해 필요한 지식들을 전달하고 있다.

저자는 노년기의 다양한 인간관계(부부관계, 자녀와의 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심리적-사회적 위기 혹은 변화에 대해 매우 구체적이고,

통찰력 깊은 조언들을 제시해주고 있다.

 

저자는 노년은 지금까지의 의무나 강제에서 벗어나 우리 인생을 스스로 만들어가고 만족스럽게 살 수 있는 멋진 기회라고 한다.

단 늙는 것 흐르는 시간에 의해 저절로 늙게 되지만, 행복하게 나이 드는 것은 배워야만 행복하게 나이들 수 있다고 전하고 있다.

예전과는 다르게, 많이 편해지고, 발전된, 100세시대라는 현시대에서 60세 은퇴 이후에도 살 날이 짧지 않다.

현 시대의 핵가족화와 평균수명 증가로서, 노후 준비는 꼭 필요한 준비이고, 중요하다.

이 책은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들이라던지, 다른 책의 의미있는 글귀, 사람들의 상담사례 등을 통해

그 짧지 않은 노후를 어떻게 하면 행복하고 뜻깊게 살수 있는지, 보다 만족스러운 노후를 보내기 위한 지혜를 알려주고 있다.

 

인생의 2막이라 불리는 은퇴 이후 60세부터 행복하게 삶을 보내기 위해서는 배움의 끈을 놓으면 안된다.

과거와는 달리 나이든 사람도 발전되고 변화 될수 있으며, 더 즐거운 노후를 보낼수 있으며,

나이에 관계없이 새로운 인간관계를 다양하게 맺을 수 있다고 희망찬 이야기를 전달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꼭 건강관리를 잘하고, 스트레스, 우울함 등 정신감정을 잘 다스려야 한다.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보내기 위해선 젊을 때보단 노인일 때 더더더 건강이 기본이 된다.!

 

아이들도 노인이 되고, 젊은 청춘들도 노인이 되고, 어른들도 노인이 된다.

단 노인이 되기까지의 시간이 조금 남았는지, 조금 더 남았는지의 차이일 뿐이다.

이 책은 50년도 되기 전에, 나이가 들어 노인이 될, 

젊은 청춘들도 꼭 읽어보고 많은 공감이 되지 않더라도, 한번쯤은 읽고 생각해봐야 할 책이라 생각한다.

나이 드는 것을 조바심내고 두려워 하지 말라~~ 더 밝은 삶이 기다리고 있을테니!

 

 

 

내가 다섯 살이었을 때 엄마는 스물다섯이었다.

나는 엄마 나이가 아주 많다고 생각했다.

내가 스물다섯 살이었을 때 엄마는 마흔다섯이었다.

나는 엄마 나이가 많다고 생각했다.

내가 마흔다섯 살이 되었을 때 엄마는 예순다섯이었다. 

나는 엄마가 젊다고 생각했다.

내가 마흔여덟 살이었을 때 엄마가 돌아가셨다. 

나는 엄마가 너무 젊은데 돌아가셨다고 생각했다. 

  

- 본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