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잡학사전 - 일상의 사물에 숨은 과학지식
와쿠이 요시유키 외 지음, 송은애 옮김 / 어젠다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이라는 과목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던 학창 시절을 생각해 보면 유일하게 잘하는 과학 과목은 '화학'이었던 것 같다. 반면에 아무리 해도 잘 안되던 분야는 바로 '물리'. 물리의 힘을 잘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다. 과학하고 담을 쌓고 살야아지 했지만 이 책 <과학잡학사전>을 보고 나의 주위에도 엄청나게 많은 과학적인 사실들이 숨어 있다는 놀라웠다.

 

 


 

과학적인 사실들이 우리의 생활 전반에 걸쳐 있다는 것도 재미있지만 그것보다 더 놀라운 일은 조금만 다른 시각으로 사물을 보면 금방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해지고, 학창시절 배웠던 것들일 정도로 간단한 것도 있다는 것이다. 흥미롭고 놀라운 정보를 읽고 있노라면 '왜 진작에 이런 원리를 알고 있었더라면...'하는 생각이 든다. 과학에 관련된 일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생 생활에 지식이 되어 해로울 것은 없으니까 말이다.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의 작동원리나 공사장의 타워크레인, 비행기의 나는 원리, 신호등 등 거리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사물들도 있지만 그것보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고 나 역시 매일 이용하고 있는 사물들도 작동원리나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다는 것이다. 그 예로 버스나 지하철 교통카드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것일까? 어떻게 정확하게 기계가 작은 카드를 읽는 것일까?

한번도 궁금해하지 않았던 것이다. 매일 사용하고 있으면서 말이다.

 

조금도 궁금증을 가지지 못한 사물에서 이런 사실들을 알고 나니 신기하면서 다음부터 단순히 기계의 작동이 아니라 이런저런 원리로 움직인다는 것이 생각날 것 같다. 



 

나와 가까이 있는 볼펜, 순간 접착제, 비누와 합성세제, 항균 제품들, 전자 레인지, LED 조명, 진공 청소기, 리모컨, 디지털 카메라, 터치스크린, 린스 겸용 샴푸 등은 거의 매일 사용하는 물건들이다.

이런 물건들이 과학자나 기술자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것은 알지만 어떤 원리로 만들어졌는지, 어떤 쓰임새(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가 있는지 알수 있었다.

 

알고 보면 이런 것들은 사물을 좀 더 자세히, 싶히 관찰하면 얼마든지 우리도 만들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생활의 발명품들이 생활의 불편함을 다르게 생각하거나 다른 방향으로 생각하다 탄생한 것들이 많다. 그렇다보니 생활에서 생각만 조금 달리하면 얼마든지 생활에 편리한 물건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 발명가가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