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를 지배하는 통계의 힘 : 입문 편 - 통계학이 최강의 학문이다 빅데이터를 지배하는 통계의 힘 시리즈
니시우치 히로무 지음, 신현호 옮김 / 비전비엔피(비전코리아,애플북스)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빅데이터(Big Data)'라는 말이 낯설긴 하지만 우리는 이미 많은 곳에서 노출되어 있다.

통계라는 말로 대체될 수 있는 빅데이터는 응용해서 생활에 적용한다면 더욱 편리하고 일을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우리는 많은 통계 속에 살고 있다.

TV 드라마에서 병에 걸린 주인공이 살아날 확률이 몇 %다라는 대사 속에서도 통계학이 있고, 프로야구의 투수의 방어율과 타자의 타율 속에서도 통계를 찾을 수 있다. 이런 예들이 통계학, 즉 빅테이터인지 모르면서 지나쳐온 것이다. 이 외에도 우리는 쉽게 생활 속에서 통계학을 찾을 수 있다.




 

우리는 왜 통계학이 필요할까?

통계학이라고 하면 앞에서 말한바와 같이 운동경기의 기록에 필요하거나 소비자들의 구매 성향을 알아보기 위한, 또는 상품의 판매, 수요 전망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점점 발전되는 통계학으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

 

여러가지 경우의 비교 실험을 통해 더 좋은 것, 나은 방법을 찾기 위해 통계학이 쓰이고 있다.

예를 들면 한해 농사를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비가 많이 오는 해와 오지 않는 해, 어떤 비료를 얼마나 사용해야 하는 것 등은 모두 수년간의 경험으로 알 수 있는 일종의 통계학이다.

한해 농사의 수확량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곳에 통계학이 사용되고 우리의 생활이 좀 더 발전되고 편이해지는 것이다. 일어날 수 있는 변수를 예상이라고 할 수 있으니 말이다.   

 



 

통계라는 것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미 일어난 일들의 평균값을 구하는 것인데 다음 결과는 예측할 수 있지만 역시 오차의 범위는 존재한다.

통계학은 완벽하게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오차의 범위를 최대한 줄이기 위한 것이 통계학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계속 통계학을 생활에 적용하고 사용하는 이유이다. 



 

빅데이터가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는 것은 역시 마케팅 분야로 IT산업의 발달로 더욱 발전하고 있다.

고도의 분석 방법도 생겨나고 상품의 판매량도 예측할 수 있는뿐만 아니라 문장을 분석하는 기법까지 발전했다고 하니 모르고 있었던 분야여서인지 더욱 놀랍다.

 

통계학은 발전된 과학의 산물인 것 같다. 그것을 현명하게 잘 이용하면 더 많은 목숨을 구할 수도 있고, 자연재해를 예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인간의 힘으로 안되는 것이지만 최소한의 피해를 입을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목표로 더욱 발전시켜 인간 생활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