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표 던지기 직전 꼭 읽어야 할 상사 후배 동료 내편으로 만드는 51가지 - 관계의 신 전미옥이 알려주는 직위 맞춤형 대인관계 실전편 일잘 시리즈 1
전미옥 지음 / 마일스톤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직장인들의 로망은 상사에게 사표를 던지는 것이라고 했던가.

나쁜 의미는 아니지만 언젠가 다른 핑계나 이유없이 깨끗하게 내가 먼저 사표를 내고 당당하게 회사를 나오고 싶은 생각은 상상도 해도 좋을 뿐이다. 인간이란 참 아이러니하게 일을 하지 않으면 일이 너무 하고 싶고, 또 일을 하면 끝도 없이 밀려드는 많은 업무량에 일을 그만 두고 싶어진다.

하지만 언제나 발목을 잡는 것은 생황비였으니 쉽게 그만 둘 수 없는 것이다.

 

회사를 그만 두거나 이직하고 싶은 이유는 뭘까? 정말 업무량이 많아서? 쉬고 싶어서?

대부분의 이유는 일이 적성에 맞지 않는다는 말을 하겠지만 1인회사가 아닌 이상 다른 동료들과 함께 일을 해야하고 유대를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그것이 틀어지고 나면 지옥이 따로 없을만큼 일터가 싫어지게 된다.

 


 

학교 친구들이 좋으면 친구들 만나러 결석하지 않고 학교에 잘 다니는 것처럼 함께 일하는 동료들이 좋으면 일하러 가는 출근길도 즐겁지 않을까 싶다.

나와 동료, 나와 상사, 나와 후배가 어떻게 하면 잘 지낼 수 있는지 알려주는 비법서가 바로 이 책이다.

사람마다 기호 식품이 있고 개성이 다르듯 사람을 대하는 법도 달라야 한다.

 

부하가 보기에 상사는 대부분 비이성적이며 자신의 일스타일과 잘 맞지 않을뿐더러 부하들에게 강요하는 무능력한 사람으로 보인다. 하지만 상사도 상사 나름의 책임감과 관리감독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럴 수 밖에 없다. 그런 위치상의 특성을 부하의 입장에선 이해하기 어렵다.

이럴 땐 상사를 이기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때를 기다리며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져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지사지(易地思之)가 아닐까 싶다. 

 



 

상사와는 거리감이 있고 후배는 약간의 거리감을 둬야 일을 지시하기도 쉽다.

그 중 제일 가깝게 지낼 수 있고 회사 생활을 이해해 줄수 있는 것이 동료, 동기이다.

그렇다보니 허물없이 가까워지기 쉽다. 친구처럼 지내며 이런저런 어려움을 토로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동료, 동기 역시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어야 하고 가까울 수록 예의를 차려야 한다.

가까운 동료일수록 부탁을 많이 하게 되고 거절해야 할 경우엔 난감하다. 거절을 하면 어색해지거나 상대방이 서운해하기도 한다. 그럴 때를 대비하고 더 큰 화를 막기 위한 처신이기도 하다.

 



 

근무년수가 늘어나면 자연히 후배가 생긴다. 보통 사람들은 자신의 올챙이 시절을 잘 기억하지 못한다. 자신이 후배였을 때 상사를 보던 시각은, 자신이 상사가 되어 후배들이 자신을 보는 시각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의 상사와 같은 모습의 상사가 되기 쉽다.

 

그러면 후배는 어떻게 해야 할까?

후배는 일을 함께함에 있어 공로를 같이 나누어야 한다. 그리고 야단을 칠 경우도 후배의 자존심을 챙겨야 한다. 친창은 고래도 춤추게하니 칭찬을 많이 해 주어야 잘 자라 인재가 될 것이다.

 


 

 

상사와 동료, 후배를 떠나 여자와 남자 동료들을 위한 대처 매뉴얼까지 보너스로 있다.

회사 생활, 사회 생활이 힘든 신입사원이나 직장인들에겐 한번쯤 읽어보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