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불패 - 손대는 카페마다 핫플레이스로 만든 창업 성공 전략
김현우 지음 / 미디어윌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카페에서 브런치를 먹는 장면은 여자들(?)의 로망이다.

이른 아침 출근 준비를 하러 일어나지 않아도 되고, 아침밥을 무엇을 요리해서 먹을까 고민하지 않아도 되고, 오늘은 또 얼마나 월급도둑이라는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아도 되는 미국 뉴욕의 캐리라는 여자와 친구들은 브런치를 매일 같이 먹는다. 그리고 하는 이야기라고는 남자와 구두, 쇼핑 이야기 뿐이다. 이 얼마나 단순하고 걱정없는 여유로운 삶인가. 숨막히는 빌딩 숲의 도시 속에서 종종걸음으로 달리지 않아도 살아 남을 수 있다는 것은 양육강식의 법을 깨는 것이다.

 

 

 

브런치의 유래는 아마 이때부터 인것 같다. 아니 어쩌면 더 오래전부터 뉴요커나 런더너, 파리지앵의 삶에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유행이 되어 카페가 번성하게 된 것은 뉴욕에 살았던 캐리라는 여자의 영향이 컸던 것은 사실이다.

 


 

여유롭게 카페에서 브런치를 먹을 수 없다면 브런치를 만들거나 카페에서 일을 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다. 적어도 브런치 먹을 값을 벌어야하지 않을까.

하지만 카페엔 낭만은 없다. 카파에 커피를 마시러 가는 손님이 아니라면 카페엔 낭만은 없다라는 말이다. 손님에게나 낭만이 존재할 뿐, 카페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겐 생계수단이다.

그렇기 때문에 쉽게 생각하고 '카페나 해볼까'하는 생각으로는 안된다고 한다.



 

일본의 유명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도 젊었을 때 카페를 했다고 한다.

내성적인 성격에 직장에 나가는 것도 싫고, 음악을 좋아해서 하루 종일 음악을 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카페를 열었다고 한다. 하지만 곧 문을 닫아야했다.

카페는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었나 보다. 또 어쩌면 글을 잘 쓰는 재주로 유명한 작가가 되라는 하늘의 뜻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무라카미는 그때 모았던 돈을 모두 날렸다고 한다.

 



 

이렇듯 카페는 자신이 좋아하기 취향으로 꾸미기 보다는 좀 더 철저하게 소비자의 분석이 필요하다.

어디에 어떤 고객층을 대상으로 할 것인지, 알아야 할 것들도 많다.

커피를 좋아한다는 단순한 생각에서 카페를 연다면 실패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

자신만의 즐거움이 아닌 카페를 찾는 손님들의 취향을 더 먼저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많은 외국의 카페 프랜차이즈들이 많지만 그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자신만의 상표를 만드는 소규모 창업을 하려면 뭔가 달라도 다른 점이 있어야 한다. 꼭 커피를 위주로한 카페만을 고집하지 않으면 메뉴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차별화의 한 방법이다. 카페에 파는 단팥죽도 특이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