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바꾸는 싸움의 기술
강준 지음 / 타래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려서부터 '싸움'은 폭력이라고 배웠다. 그래서 싸움은 나쁜 것이다라는 고정관념이 있다.

그리고 어른들도 싸움을 하면 '나쁜 것'이라고 말씀한다.

이젠 무조건 싸움이 나쁜 것만이 아니라 싸움도 싸움 나름인 것을 알게 되었다.

물론 이 책 <나를 바꾸는 싸움의 기술>은 신체적인 싸움을 말하는 것으로 '폭력'에 가까운 것이다.

그리고 폭력을 먼저 행하는 것이 아니라 위험과 위협에 자기자신을 방어하고 정당방위를 위한 싸움임을 먼저 알아야 한다.

 


 

<나를 바꾸는 싸움의 기술>에는 실제적인 싸움의 기술과 그 기술을 가르쳐주는 사부님과 정용이라는 10대 청소년이 나오는 스토리텔링의 기법을 차용하고 있다.

정용이는 고등학생으로 소위 왕따를 당하는 학생이었다. 왜 왕따를 당하는지 알 수는 없지만 반 아이들의 집단 따돌림 때문에 이미 여러 학교를 전학한 상태였다.

계속 전학을 다니는데도 새학교에서 또 왕따를 당해 이젠 싸움의 기술을 배워 스스로 이겨내고 싶었다.



 

스스로의 힘으로 왕따를 극복해보겠다는 생각은 대견하지만 그것보다 먼저 왜 자신이 왕따를 당하는지에 대한 원인 파악이 먼저였다. 무슨 일이든지 원인이 있고 결말이 있는 법.

결만만 있는 일은 없다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문제점이나 반성 후에 일을 대처해야 할 것이다.

 

우선 사부님은 싸움을 하기 전 첫인상이 상대방의 기선을 제압하는 기본이라 한다.

기선제압에서 상대방을 보는 눈빛이 중요한데 강렬한 인상으로 상대방을 누르는 것이 직접적으로 주먹을 먼저 쓰는것보다 낫다고 한다. 되도록이면 폭력적인 싸움을 피하는게 좋게지만 말이다.



기선제압에 이어 실제상황으로 들어가 주먹이나 힘을 이용하는 상황에서는 절대 싸움의 주도권을 빼앗기지 말아야 한다고 한다. 그리고 상대방이 기술이나 공격을 할 기회를 주면 안된다.

그리고 기술이나 힘도 중요하지만 쉽게 화를 내는 다혈질적인 성격은 싸움을 하는데 패배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고치는 것이 좋다. 자신의 화를 다스리지 못하는 사람은 절대 상대와의 싸움에서 이길 수 없다.



 

무술이나 다른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가끔 범하는 실수중에 하나가 운동을 했기 때문에 싸움도 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하지만 싸움의 실전은 예의와 범절은 지켜야하는 운동과는 또 다르다.

그리고 상대방의 수와 나의 수의 차이에서 오는 중압감으로 이미 싸움의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심적인 부담으로 지는 경우도 있다한다.

 

무슨 일이든지 자신감이라는 것은 중요하다.

꼭 누군가를 이기기위한 것이 아닌 자신과 타인을 지키기 위해 싸움을 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