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力사전 - 세상을 읽는 힘
김동주 지음 / 종합출판(미디어)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모 개그 프로그램에서 단어의 뜻을 현대적으로 해석해서 재미를 주는 코너가 있었다. 아마 이 책 <인문력 사전>도 그런 재미를 주는 책이었다.
단어의 의미에 풍자와 위트, 유머, 인간의 사고를 통해 통쾌하게 비꼬는 듯했다. 영화로 말하면 '블랙 코미디'라고 할까. 

 

 

현대인의 경직된 사고와 생활 방식을 실랄하게 비꼬았더나 질타한 내용들을 선별해 사전 형식으로 배열해 만들었다. 사전의 형식을 가지고 있지만 사전 같지 않은 사전.
우리가 그 뜻을 쉽게 알 수 있고 설명할 수 있는 단어들이지만 새로운 시각으로 단어의 정의를 내려 독특하면서 '이런 시각도 있구나'하는 생각을 가지게 하는 책이다.

 

 

사전이지만 사전 같은 느낌은 전혀나지 않아 읽으면서도 재밌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현대적인 의미로 재해석되었기 때문에 현대적인 감각으로 이해하기도 쉬웠고 사람들의 생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도 알 수 있는 기회였다. 읽으면 읽을수록 인터넷에서 떠도는 유머같은 톡톡튀는 감각적인 답변들이 기발하다고 생각이 들 정도다.

 

 

솔직하고 당당하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신세대들의 창의력을 볼 수 있다.
읽는 동안 지루함보다는 재치를 더 느낄 수 있었다. 특히 몇가지 정의에서는 다른 사전보다 더 정확한 정의를 내리는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였다.

 

 

언어의 특징중 '사회성'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사회성으로 시대에 따라 단어의 뜻이 바뀌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영원히 그 뜻을 유지하는 단어는 없다. 시대에 따라 변화해가고 생성-소멸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인문력 사전>은 이런 사회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 예전엔 없었던 단어의 새로운 뜻을 첨가하는 기능을 한다고 할까. 또는 기존의 단어 뜻에 다른 해석을 첨가해서 여러가지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로 변신을 시키고 있다. 그리고 비슷한 뜻을 지니거나 정반대의 단어들은 따로 비교형식을 취하고 있어 더욱 재미와 새로운 시각을 보여준다. 

 

 

하지만 다소 아쉬운 점은 너무 위트있게, 너무 풍자하다 보니 약간 눈살을 찌푸리게하는 정의도 있었다. 예를 들면 여성 또는 남성, 한쪽을 비하하거나 소수집단을 웃음거리로 만들거나, 억지 유머를 만드는 경우도 있어 아쉽기도 했다.

그래도 각 단어의 의미와 잘 맞는 작가들의 명언이나 작품속의 이야기들은 아주 도움이 될 것 같은 지식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