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시대가 던진 질문의 답을 찾다
권희정 지음 / 꿈결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학생들에게 책을 추천할 기회가 있다.

그런데 그럴때마다 너무 난감하다. '어떤 책이 좋은지', '얇지만 유명한 책' 등이라는 수식어를 붙여 책을 추천해 달란다. 그럴때마다 난 책 추천을 사양한다.

어떤 책이 좋은지의 기준은 없을뿐더러 '얇지만 유명한 책'이라니 기준이 왜 이리 모호한지.

마치 읽지도 않는 유명 전집을 사서 책장에만 꽂아두어 장식하는 졸부의 느낌이 난다고 할까.

항상 책을 가까이하고 자주 읽으면서 자신만의 책고르는 기준을 만들고, 자신만의 취향을 만들었으면 한다.

 

 

 

그런 기준이나 취향이 없는 사람은 이 한 권의 책,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를 읽어보고 자신에게 맞는 책이 어떤 책인지 골라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이미 많은 학생들이 논술을 위해 읽고 있는 <월간 고교 독서평설>에 연재된 글들을 모아 책 한권으로 만든 것이다. 논술과 독서를 한번에 할 수 있는 기회가 아닌가 싶다.

 

하지만 연재된 글들의 특성상 인문도서가 많아 다소 지루하거나 흥미 유발을 할 수 없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매번 재미를 위한 책만을 읽을 수는 없다. 이런 책이야 말로 자신의 지식을 살찌울 수 있는 양서가 되는 것이다. 얇지만 '유명한' 책들이 아닌 두껍지만 '유명한' 책들이라 꼭 읽어야 할 교양도서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은 잊지 말기를.




 

 

인류의 미래를 예측한 <문명의 붕괴>와 <도둑맞은 미래>, <인구론>등의 책들은 과학서로 자주 접할 수 없는 책들이지만 읽고나면 깨닫게 되는 것도 많을 것이다. 특히 앨빈 토플러의 <미래의 충격>은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많았던 책으로 토플러의 다른 저서 <제3의 물결>은 다른 책에서도 많이 언급이 된 책이다.

 

서양의 책들만 소개한 것이 아니라 맹자의 <맹자>, 박제가의 <북학의>도 정치적인 면을 강조해서 인본주의에 대한 깊은 탐구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와도 친숙한 책들이라 읽으면서도 거부감도 없이 쉽게 이해도 된다.  

 



 

후반부에 가서는 인간적인 철학도서를 추천하고 있다. 올바르게 산다는 것에 대한 의미를 성찰해 보고 그 참된 의미를 찾으려고 한다. <명상록>, <장자>, <채근담>등이 책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책들중 하나다. 인간의 성찰에 이어 더 나아가 인류와 문명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한다.

 

이미 현대사회는 '하나의 지구촌'을 이루어 살아가고 있다. 우리나라만의 이익을 위해서만 살아갈 수 없는 세계화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다보니 '공존'의 의미가 중요한데 그 공존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책들이 소개되어 있다. 동양과 서양, 문명과 야만, 질서와 무질서 사이의 문제들을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문명의 공존>, <오리엔탈리즘>, <카오스> 등이 그러한 책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