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과 나 - 왕을 만든 사람들 그들을 읽는 열한 가지 코드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왕은 혼자의 힘으로 될 수 없다.

오랜시간 수많은 역사를 봐도 왕은 자신의 혼자 힘으로 그 자리에 오른 경우는 없다.

왕이 되려면 시대와 천운이 따라야 하고 또 자신의 사람이 있어야 가능하다.

 

중국고전 '삼국지'에서도 많은 왕들이 있고 나라를 세우기 위해 싸운다.

그들에겐 언제나 뛰어난 지혜을 가진 책략가들과 전장에서 싸울 장군들, 그리고 왕의 정책에 동의하는 신하들이 있어야 한다.

비단 중국의 역사에서만 일어난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역사 속에서도 많은 공생관계의 '왕과 신하'들이 있다.  

 



신라의 선덕여왕에겐 역사적인 인물 두명이 있었다. 김유신과 김춘추가 그들이다.

선덕여왕은 성별의 차별이 없던 시대이긴 했지만 전장에 나가 싸울 수는 없었다.

대신에 김유신과 김춘추은 선덕여왕에겐 큰 도움이 되었고, 김유신은 나아가 삼국통일의 기반을 만든다. 이들의 신분은 골품제도가 강한 신라사회에서는 중심부류가 될 수 없었다. 하지만 신라 사회를 변화시킴으로 신부류가 되었다. 이들은 자기헌신, 자기희생의 결과로 신라사회는 화랑이라는 제도하에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치는 신라군이 있었기에 신라를 살리고 삼국통일을 할 수 있었다.

 

 

 

 

몇 년 전 '주몽'이라는 드라마로 처음 알게 된 '소서노'. 소서노는 주몽의 아내이자, 백제 개국공신 온조왕의 어머니이기도 했지만 소서노의 진가는 그녀가 백제뿐 아니라 고구려의 공동 창업자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고대사회에서 여성의 위치가 높은 편이었던 것을 감안해도 나라를 창업할 정도면 엄청난 능력의 소유자라 생각이 든다. 소서노는 역사적으로 봐도 과거에 연연해하지 않고 미래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고 선택했다. 아들들의 창업을 돕고 자신의 몫을 챙겨 새로운 나라를 세운다.

앞날을 넓게 보고 멀리 보는 안목으로 더 큰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소서노의 기지를 배워야 할 것이다.

 

 

 

효종이 대동법을 실시하게 된 데에는 일화가 있다. 대동법을 실시하자고 상소를 올린 신하는 바로 '김육'이었다. 김육은 자신의 죽음전까지 대동법에 대한 고집을 꺾지 않았다.

지역의 특산물을 납부받는 공납과 공물을 대신 납부하고 이자를 받는 방납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대동법을 실시하자고 한 것이다. 이 모든 것은 농사에만 의존해 가뭄이나 천재지변으로 굶어죽거나 고통받는 백성들을 위한 일이었다. 하지만 정치적 상황이 여의치 않았고, 김육의 죽음 이후 시간이 흐른뒤에 실시하게 되었다.

 

 

    

'물시계', '측우기'등을 만든 장영실에게는 세종대왕이라는 든든한 후원자가 있었기에 신분이 미천해도 발명가로 역사서에 남을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이런 왕과 과학자만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신분을 뛰어넘어 뛰어난 토목건축가로 태종의 인정을 받은 박자청다.

박자청은 천민출신이지만 토목건축의 뛰어난 전문지식과 기술로 사대부들이 시기하는 자리에까지 올랐다. 박자청은 서울의 거의 모든 건축물을 지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도성의 여러 궁궐과 성균관, 종로의 행랑, 경회루까지 건축했다고 한다.

신분도 실력을 막진 못한 예로 길이 역사에 남을 것이다.

 

 

 

 

역사속의 인물들에게서 배우는 좋은 '참모'의 역할은 쉬운 것은 아니다.

참모들이 가져야 하는 10가지의 덕목을 정리한 것이 이색적이면서 실존 인물들의 업적으로 구체적인 예시를 든 것이 이해가 더 쉽게 한다. '왕'을 '왕'답게 만들고 역사에 기록되게 만들었던 참모들은 헌신하고 넓은 시야를 가지고, 할 말은 다 하고, 나라를 위해 희생하며, 목적을 잃은 권력은 탐하지 않고, 참모로서의 선은 넘지 않는다는 덕목도 덧붙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