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딱선 - 손가락 그리고 달
설묵 지음 / 지혜의눈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교에서는 속세의 인연을 끊고 잡념을 없앤다는 의미로 머리카락을 깎는다고 한다.

그렇게 인연이라는 것은 끊기 힘들다. 조금씩 자라는 머리카락처럼 인연의 끈은 끊을래야 끊을 수 없고 쉼없이 마음속에서 자라고 있나 보다.

요즘은 더욱 속세와 인연을 끊기 힘들것 같다. 오래전엔 속세와 인연을 끊으려고 산속 깊은 암자에 들어가면 연락이 힘들었지만 요즘은 스님들도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시대가 아닌가.

그 인연의 끈은 전파를 타고 닿을 수 있다. 인연을 끊으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인연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려고 하는 속세에, 속하려고 하는 모습이다.

 

 

 

 

모든 세상 사람들이 똑바로 세상으로 보려고 하는데 '삐딱'하게 보려고 애쓰는 듯한 제목이 마음에 들었다. 세상을 꼭 '똑바로'만 볼 필요가 있겠는가. 똑바로든 삐딱하든 돌아가고 있는 건 마찬가지지 않는가. 하지만 가끔은 하늘도 올려다 보고 땅도 내려다 보며 살아야 하는 것처럼 세상을 삐딱하게 고개 돌려봐도 좋지 않을까 싶다. 혹시 반성할 거리가 생길지도 모르지 않은가.

 


 

 

<삐딱선>은 저자 설목 스님이 행자시설 적은 일기들을 모아놓은 글집이다.

그렇다보니 초기에는 출가를 한 불자보다는 속세를 아직도 못 벗어난 듯한 느낌을 많이 받는다.

하지만 읽으면 읽을 수록 점점 불자가 되어 가는 과정에서 이런저런 깨달음과 각오를 볼수 있다.

 

요즘 인기 있는 젊은 스님들의 책과는 다른다.

젊은이들에게 어떻게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저자 자신의 일기에서 글을 모았기 때문에 자신의 수행 과정에서 벗어날 수 없었던 번뇌들이 주내용이다.

 



 

누구나 처음부터 잘하는 것이 있지는 않다.

저자 역시 처음부터 불도의 길에 올라선 것도 아니었다. 한때 속세의 사람이었다.

그렇다보니 수행의 길을 결심했지만 이런저런 번뇌에 휩싸인 것은 어쩔 수 없었다.

그런 번뇌를 벗어나는 과정을 솔직하게 적어두었다.

 

풀리지 않던 작은 의문이나 문제가 시간이 지나고, 생각이 바뀌면서 풀릴 때 저자는 작은 기쁨을 느낀다. 이런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불심을 키워나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