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떠나는 사람들 - 3040 지식노동자들의 피로도시 탈출
김승완 외 지음 / 남해의봄날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에 살아본 적은 없다. 하지만 서울보다 큰 도시에서는 살아봤다.

그런데 서울 만큼 살기 힘든 곳도 없는 것 같다. 태어날 때부터 시골에서 태어나 도시의 답답함과 복잡함, 많은 사람으로 인해 숨이 막힐것 같은 인구밀도....그런 것들이 나에겐 숨을 더욱 못 쉬게 하는 것 같다. 그래서 서울을 떠나는 이들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도시의 차갑고 냉철함과 무관심 속에서 무명인으로, 익명인으로 살고 싶기도 하지만 그 뒷면의 인간적인 정없는 삶이 이젠 견딜 수 없을 정도다. 이젠 여행을 서울로 떠나야 할까보다.

 

 

 

 

사람들이 도시, 서울에 사는 이유는 간단하다. 먹고 살기 위해서이다. 일자리가 지방에 비해 비교적 많고 편의 시설도 많아 편하다. 교통도 빠른 편이고 늦은 시간까지 대중 교통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이들 학교나 여러가지 시설이 도시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사람들을 더 도시에 묶여있게 한다.

 

그런 도시인들에겐 시골의 푸르름이나 산촌의 계단식 논밭, 바다의 냄새는 향수이자 선망의 대상이다.

어쩌면 도시인들의 가슴속에 이 복잡한 도시를 떠나 시골로 떠나고 싶은 욕망이 있는지도 모른다.

그런 욕망을 실제 생활로 옮기는 사람들이 여기 있다. <서울을 떠나는 사람들>은 서울을 떠나 지방의 자연 속으로 삶의 터전을 바꾸고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도시 사람들이 가장 이사가고 싶은 곳이 어딜까? 요즘은 '제주도'가 가장 '핫(Hot)'한 곳이 아닐까 싶다. 많은 연예인들도 제주도에 서로 집을 짓고 TV에서도 자주 보고 책까지 쏟아져 나오고 있다.

환상의 섬 제주도가 외지인들로 발전되고 변화되는 건 아닌지 모르겠지만 아직도, 여전히 제주도에 대한 동경은 있다.

 

제주도에서 이름 있는 IT 회사에서 일을 하는 사람, 카페를 하며 바리스타이자 주인인 사람도 있고, 강원도에서 극단을 하는 연출가, 1인 출판인이자 번역가, 농사를 지으며 노래하는 충청도 펑크가수, 전라도의 오너쉐프와 예술공간 대표, 경상도의 지방 출판사 대표 등이 그 대표적인 서울 탈출민들이다.


 

 

 

부러움반 질투반이 날 정도로 지방에서 멋지게 살고 있는 이들의 공통점이 있는 것 같다.

그들의 일, 직업이다. 대부분 자유직이거나 지방에 발령을 받은 경우도 있고 보통 사람들보다 직업의 이동이 쉬운 편이었다. 그렇다보니 이직이나 전직을 하고 지방에서 새로운 삶을 살 수 있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배우자나 가족이 이해해 주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꼭! 그 장소, 꼭! 그자리가 아니어도 된다면 도시를 벗어나 지방에서 살아도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