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땅에 펀드 - 땅, 농부, 이야기에 투자하는 발칙한 펀드
권산 지음 / 반비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받고 어떤 책일까 궁금해 살짝 몇장을 넘겨 보았다.

그런데 한장의 사진이 눈에 들어왔다. '진격의 대평댁(할머니)'의 사진이었다.

감자밭으로 씩씩하게 걸어오고 있는 대평댁 사진을 보고 대평댁(할머니)의 매력에 빠졌다.

'호랑이 똥구녕을 씹어불겄네!'라는 말을 자주 하신다는데 요즘 말로 '음성지원'까지 되는 듯했다.

책의 내용도 보기 전에 사진 한장에 빵~하고 터져버린 것이다.

와~어떻게 이렇게 표지를 잘 만들었나.

 

 

 

원래 '투자'나 '펀드' 같은 재테크를 좋아하지 않는다. 이유는 단지 '원금 보장'이 어렵다는 것이 이유다. 어렵고 힘들게 번 돈, 그 원금을 손해본다는 것은 피같은 돈이기에 정말 그런 위험을 안고까지 투자를 해 큰 돈을 벌고 싶은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번도 '펀드'에 투자를 해 본 적이 없다.

하지만 이런 맨땅에 하는 '펀드'라면 관심이 생긴다.

 

경상도와 전라도의 어디쯤 되는 지리산 한 자락에 '맨땅에 펀드'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사실 도시 사람들이 시골에 오는 '귀농(또는 귀촌)'이라는 것에 환상을 가진 듯하다.

농촌에 가서 텃밭 가꾸고 텃밭에서 나온 농작물로 반찬을 해서 먹는 그런 환상 말이다.

농촌도 나름 사람 사는 곳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시 사람들과는 다르겠지만 스트레스도 있고 고충도 있다. 그런데 그런 생각에서인지 어떤지 지리산자락에 귀농을 해 사는 도시 사람들이 만든 작은 모임(?)이 있다. 그들은 '땅과 사람에 투자하라'는 문구로 투자자를 모집한다.

 

 

그런데 어떻게 된 일인지 100명 투자자가 고집되고 일인당 30만원의 투자금을 받아 농사를 짓기 시작한다. 공통 텃밭은 구입하고 감나무밭을 임대하고 작물을 심기 전에 심을 수 있는 땅으로 만든다.

그리고 첫번째 작물인 씨감자를 심는다. 농사를 지어본 적도 없고 귀농한지 몇년 안되는 그들이 이런 어마어마한 1년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었던 데에는 믿는 구석이 있었기 때문이다.

 

든든하고 항시 대기중인 '펀드 매니저'들이 다수 보유(?)하고 있기에 '맨땅에 펀드'는 시작할 수 있었다. 펀드 매니저들은 30~40년 이상의 경험자들로 그들이 없었다면 1년 농사는 어떻게 되었을지 상상이 안간다.

 

 

펀드의 성격상 모든 농작물은 유기농을 원칙으로 한다. 하지만 농사를 지어보면 안다.

벌레도 쉽게 생기고 농약을 쓰자니 많은 양도 아니고 팔 것도 아니라 그냥 두게 되는데 그러다 보면 수확량이 적어 투자자들에게 돌려줄 양이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한해 동안 열심히 일한 것이니 500원짜리 작은 감자부터 시장에 나가서 팔아도 될만큼 토실한 감자까지 수확을 한다.

 

농사 초보자들이 직접 지은 감자 농사. 크기는 보잘것 없지만 그 정성도 보잘것 없을까.

땀흘려 지은 농사를 직접 수확해 투자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나눠준다.

잠자 파종을 시작으로 봄엔 고구마, 땅콩, 토란 등을 심어 수확한다. 그리고 추자자들에게 산지직송으로 택배 배달을 한다.



 

작은 수확이지만 수확의 기쁨을 알게 되었지만 곧 여름 태풍이 닥친다.

여름 태풍은 누구의 감나무, 누구의 벼를 구분하지 않고 농작물에 손해를 입힌다.

태풍이 지난 후 여름 매실을 따고 매실 효소를 만든다.

 

'맨땅에 펀드'는 수확한 농작물을 그대로 배송하기도 하지만 이렇게 작물을 이용한 반찬이나 다른 건강 식품을 만들어 보내기도 한다. 이런 배당금이라면 건강과 만족을 한꺼번에 얻을 수 있는 펀드가 아닐까 싶다.

 



가을엔 감밭에 도둑이 들어 누군가 많은 양의 감을 곱게, 깨끗하게 따가는 일도 발생한다.

그런 노력을 무참히 짓밟은 도둑(?)을 보며 흔하게 일어나는 농작물 도둑들이 생각났다.

1년을 고대하고 기다리며 땀흘려 키운 작물을 아무런 수고도 없이 가져가는 일은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농민들을 두번 울리는 일이다. 매년 폭락하는 농작물의 가격 하락과 함께 말이다.

 

겨울엔 배추를 키워 김장까지 담근다.100명의 투자자들에게 모두 보낼 김치는 엄청난 양으로 며칠을 벌여야 하는 일이었다. 하지만 그들에겐 무작정 달려와 주는 펀드 투자자들이 있었고 그들의 노력으로 김장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그렇게 1년 농사가 마무리 되었고 '맨땅에 펀드'는 성공적으로 마무리를 한다.

1회에 의한 '펀드'가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투자자들을 모집해서 펀드의 규모를 늘릴 계획이라고 하니 두고 봐도 괜찮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