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가 뿔났다 - 생각하는 십대를 위한 환경 교과서 꿈결 청소년 교양서 시리즈 꿈의 비행 4
남종영 지음 / 꿈결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매년 지구의 연평균 기온이 올라가고 있다고 한다.

지구 온난화는 매년 심해지는 것 같고 사계절인 것을 자랑으로 여겼던 우리나라의 계절도 봄과 가을이 실종되어 여름과 겨울만 뚜렷해지는 현상을 보인다. 그렇게만 변화된 것이 아니라 여름은 점점 더워지고 겨울은 점점 추워지고 있다. 그러다 보니 계절만 변화된 것이 아니라 많은 것들이 변하고 있다. 점점 피부로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자연이 변하고 있는 것이다.

 

자연과 인간은 떨어질 수 없는 관계이다. 게다가 상호보완적인 관계라 어느 한쪽만 영향을 받을 수는 없다. 자연의 변화로 인간의 삶까지 변하기 시작했다. 이제부터라도 자연의 변화를 멈추어야 할 것이다. 특히 아이들에게 자연은 공부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어른들보다 더 오랫동안 공존해야 하는 것이다. 아이들을 위해서도 어른들은 자연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얼마전 TV에서 북극곰이 녹는 빙하 때문에 살아갈 터전을 잃어간다는 내용의 다큐를 본 적이 있다.

북극곰에게 빙하는 그냥 얼음이 아니었다. 추운 빙하 위에서 주로 사는 북극곰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제일 큰 피해자가 되게 되었다. 바다 얼음이 녹고 있고 육지에 머무는 워킹 하이버네이션 기간이 길어질수록 북극곰의 영양 상태는 부실해진다. 영양분이 풍부한 물범 대신 산딸기나 나무 열매와 같이 잡다한 것을 먹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북극곰의 몸무게와 키가 줄어들고 번식률도 낮아졌다고 한다. 이런 현상이 지속되다 보면 북극곰의 미래는 장담할 수 없다.


 

 

기후 변화로 인해 북극곰만 위기에 처한 것은 아니었다.

과학자들은 매머드의 멸종 원인이 '기후변화'와 '인간의 남획'이 주원인이라고 생각한다.

매머드가 생존했던 시대에서부터 기후변화는 있어왔다. 하지만 매머드처럼 멸종이 되어버리는 결과는 이미 우리는 알고 있다. 우리 인간 역시 동물이다. 그러기에 멸종이라는 단어를 피해갈 수는 없다.

 

1790년도에 그려진 영국 호수 위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목사'라 그림을 보면 불과 200년 전에는 얼음이 얼었던 호수가 지금은 절대 얼음이 얼지 않는 호수로 변했다고 한다.

자연의 변화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기후변화는 우리나라에서도 뚜렷한 변화를 보인다. 한반도의 평균 기온이 올라가면서 예전에는 너무 추워서 재배할 수 없던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예전엔 '귤'하면 제주도의 특산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따뜻한 남쪽인 제주도에서만 귤이 자랐다. 하지만 이제 귤은 제주도를 넘어 남해안에서도 재배가 가능해졌다고 한다. 농작물의 재배 한계선이 북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오랫동안 전통적인 상식으로 여겼던 한국의 특산물 지도가 크게 바뀌고 있다.





 

 

지구 온난화는 육지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바다도 병들고 갯벌도 사라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엔 서해안과 남해안의 많은 갯벌들을 끊임없이 땅으로 만다는 간척사업을 했다.

그러면서 지도도 바뀌었다. 구불구불한 해안선은 단조로운 직선이 되었다. 해안선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서해안으로 리아스식 해안이라고 교과서에서 배운 지식이 틀린 지식이 되어버린다.

서해안은 수심이 낮아 간척 사업을 하기에 좋고 또한 수도권과 가깝기 때문에 공장 용지 등의 수요가 많아 무분별한 갯벌 간척 사업은 지금도 속도를 늦추지 않는다.



 

 

<지구가 뿔났다>는 많은 것들을 경고하고 있다. 자연과 동물, 지구 그리고 인간까지도 해를 입히는 인간의 이기심과 욕심에 대해. 언젠가 자연이, 동물이 인간을 역습할 것이고 인간 역시 멸종의 위기에 몰리게 될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자연을 위해, 지구를 위해 당장 생활 습관을 바꿔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