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할 땐 니체 땐 시리즈
발타자르 토마스 지음, 김부용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니체의 '허무주의'를 알기 전에 쇼펜하우어의 '허무주의'를 먼저 알았다.

아마 그땐 쇼펜하우어의 책이 유행했고 약간의 겉멋이 들어 읽었던 기억이 있다.

어린 나이여서 쇼펜하우어든 누구였든 이해는 가지 않았다.

처음으로 "염세주의"란 단어를 알았던 것 같다.

그러고 보니 질풍노도 사춘기 시기에 "염세주의"라...참으로 웃기는 아이였던 것 같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니체의 그 유명한 책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을 읽었다.

지금 무슨 내용이냐고 물어보면 기억에 전혀 없다는 말 밖에 할 수 없다.

이번 <우울할 땐 니체>를 읽으며 니체에 대한 공부를 했다.

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것이지만 역시나 어렵다는 말은 빠지지 않는다.

철학과 가까이 지내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니체의 사상과 철학을 알려면 우선 쇼펜하우어를 알아야 한다.

니체 자신도 인정했듯이 쇼펜하우어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고 그의 책에 감동했다고 하니까.

하지만 니체는 쇼펜하우오의 '염세주의'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청출어람이라고 감히 비교해도 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니체는 자신의 스승인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뛰어넘어 진화된 '염세주의'와 '허무주의' 사상을 주장했다.

 

니체는 비합리주의적 철학자이지만 실존주의자, 염세주의자라고 불리었다.

'삶은 아무런 의미도 가치도 없다'라고 전제하는 것이 염세주의자들의 철학의 특징이지만, 니체의 철학은 삶은 아무런 의미가 없음에도 염세주의자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니체는 삶이 아무런 의미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열정적으로 살아갈 것을 강조했다.

 

 

<우울할 땐 니체>는 이런 니체의 염세주의 철학을 조금 다른 각도에서 보고 있다.

'허무주의'라고 해서 모든 일에 실망하고 목적의식과 삶의 방향성을 잃어버린 인간성 상실, 무기력에 관한 것이 아닌, 우리 삶을 바꾸고 소소한 일상의 일들을 바라보는 시선을 달리해 삶에 부여하는 의미까지 바꾸겠다는 의도이다.

 

이상, 욕망, 내면의 광기를 모두 상실했을 때 우리에게는 단 한가지만 남게 된다.

행복이 바로 그것이다. 행복은 이처럼 전형적으로 허무주의자의 이상이다.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