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실 언니 - 권정생 소년소설, 개정판 창비아동문고 14
권정생 지음, 이철수 그림 / 창비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예전에 <몽실언니>를 읽었다. 그리고 이번에 다시 읽었다. 개정판이 나왔다는 소식을 듣고 늦게 다시 읽게 되었다. 아침부터 읽고 눈물이 날 정도로 또봐도 울컥한다.

<몽실언니>를 보니 예전에 봤던 일본의 <오싱>도 기억이 났다.

둘 다 어린 나이에 고생이란 고생은 다하고 가족들을 위해 희생하는 모습은 어찌나 닮았는지.

 

<몽실언니>의 이야기는 해방전후와 한국전쟁이 일어난 몇년 뒤까지가 배경이다.

일제강점기이니 만큼 잘 사는 사람보다는 못사는 사람들이 더 많았을 거고 몽실네도 그런 집 중에 하나였다. 아비 정씨는 가족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 타지로 일을 나갔다.

하지만 아비는 돌아올 생각을 하지 않고 몽실과 몽실 어미 밀양댁은 굶어 죽을것만 같다.

그래서 몽실 어미는 몽실이를 데리고 재혼을 한다. 부잣집에 시집가 배를 곯지 않기 위해서다.

1년 여 만에 아비 정씨가 나타났지만 몽실이에겐 영득이라는 동생이 생긴 뒤였다.

아비를 따라가고 싶지만 어미 또한 걱정이 되어 망설여졌다. 그것을 본 새아버지 김씨가 밀양댁을 밀쳤고 그때 몽실이도 같이 넘어져 그만 다리를 다치고 만다.

몽실이는 한 쪽 다리가 짧은 절름발이가 된다. 평생 그렇게 살아가야 했다.

 

우여곡절 끝에 친아버지 정씨와 살게 된 몽실이. 하지만 여전히 살림은 궁핍했다.

정씨는 도망간 아내를 원망하며 술을 마셨고 몽실이에게 행패를 부렸다.

술만 마시는 변하는 아버지. 김씨 아버지도 그랬다. 술만 마시면 몽실이와 밀양댁에게 떠나라고 했다.

그렇다고 몽실이가 그런 아비를 두고 다시 밀양댁에게 갈 수는 없었다.

 

어느날, 고모가 새어머니 북촌댁을 데리고 왔다. 북촌댁은 몸이 약할 뿐 몽실이에겐 좋은 새엄마였다.

역시나 또 정씨 아비는 일을 하러 가야했고 그 사이에 한국 전쟁이 일어난다.

그러는 중에도 북촌댁은 동생 난남이를 낳고 죽는다. 전쟁통에 갓난아이와 둘이 남은 10살 몽실이.

밤낮으로 폭격이 일어나고 인문군이니 인공기니 몽실이 이해하지 못하고 모르는 말들을 하며 마을이 어수선했다. 인민군들은 살려달라는 어른들을 무참히 죽였고 다행히 몽실과 난남은 살아남는다.

 

아직 <몽실 언니>이이기의 반밖에 오지 않았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너무나 궁금하면 책을 읽어보길.

 

 

 

 
 

이 책이 어린이용으로 분류되어 있다. 어린이나 청소년용으로.

하지만 분류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본다. 어른들이 읽어도 충분히 감동 받을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다. 아마 <몽실언니>를 읽어보지 않은 어른들이 읽는다면 분명히 눈물을 흘리며 볼 것이다.

옛날 일이 생각나거나 가족들, 형제들,부모님들 생각이 절로 날 것 같다.

지금은 모든 것이 풍족해 쓰고 남으면 버리는 시대지만 우리나라가 이런 경제 발전을 이룩한 것은 불과 강산이 두세번 밖에 변하지 않은 것이다. <몽실언니>의 모습은 우리 엄마들, 할머니들, 옆집 아주머니들의 이야기인 것이다.

 

초등학생 중에는 한국전쟁이나 88서울올림픽이 언제 일어났는지 모르는 아이들도 많다.

점점 그런 아이들이 많아 질 것이다. <몽실언니>를 통해 당시의 상황도 알수 있고 역사공부까지 되는 일석이조의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그러기 전에 부모님들이 먼저 읽어보시길!!!!!!!!!!!!!!!!!!

 

"누가 그걸 곧이듣니? 할아버지가 잘못한 거지. 아무리 자식이지만 빨갱이한테 떨을 해 주고 닭을 잡아 주다니, 그건 백 번 천 번 잘못한 거야."

"아버지!"

몽실이 정 씨 얼굴을 쳐다봤다. 어두운 움막 속에서도 그걸 알 수 있었다.

"......그렇지 않아요. 빨갱이라도 아버지와 아들은 원수가 될 수 없어요. 나도 우리 아버지가 빨갱이가 되어 집을 나갔다면 역시 떡 해 드리고 닭을 잡아 드릴 거여요."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