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나로 살 때 행복하다
박은미 지음 / 소울메이트 / 2013년 3월
평점 :
품절


 

 

행복은 누가 대신 느껴주는 것도, 다른 이의 행복을 보고 내가 행복한 것도 아니다.

행복은 '내'가 행복해야 행복한 것이다.

이런 깨달음을 얻은 것은 최근의 일이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뭔가를 하고, 그 사람이 기뻐하는 모습을 보면 나도 기쁘고, 그래서 행복감을 느낀다고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그것이 진정 나의 행복인지 의문을 가진 것도 최근이었다.

그 의문에서 시작된 고민이 진정한 행복은 '내'가 행복할 때 행복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큰 깨달음은 아니었지만 그 뒤엔 모든 것이 달라졌다.

누군가를 기쁘게 하기 위해 내가 하기 싫은 일도 해야하는 고충이 있었지만 지금은 나 자신이 행복해지기 위해서 모든 일을 하기 때문에 난 항상 행복하다.

 

나의 '행복론'은 말하자면 '구먹구구'식이다. 경험과 시행착오를 거쳐 만들어진 것이다.

그런데 <진짜 나로 살 때 행복하다>라는 책에선 간단명료하게 잘 정리된 것을 보고 놀랐다.

물론 나만 이런 생각을 하며 살아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철학적인 관점으로 쓰인 책을 읽다보니 공감하는 부분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철학적인 사람도 아닌데 말이다. 

 

첫 장의 제목부터가 범상치 않았다.

'네 자신을 알아라(Konw yourself)'. 너무나 유명한 인용문구이다.

자기 자신을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바로 '자신'이다. 그 어떤 사람도 타인을 완벽하게 알 수는 없다.

그러니 내가 행복해지려면 나 자신에 대해 알아야 할 것들이 많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다'라는 말처럼 나를 잘 안다면 그 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고, 극복할 수 있다. 그러니 자신이 행복해지려면 제일 먼저 "자신"을 알아야 할 것이다.

 

두번째 장은 자신을 알았으니 이제는 자신을 훈련시켜야 한다.

나의 나쁜 습관을 버리고 부정적인 말들을 삼가하며, 결과만을 지향하는 욕망주의적인 성향을 버려야 한다고 한다. 이런 것들을 버리고 자신을 다독여야 행복의 길로 갈 수 있다.

 

세번째 장은 이젠 자신을 사랑할 방법을 찾으라고 한다.

자기 존재를 인정하고 사랑하며 용기를 주라고 한다. 자신의 장단점을 모두 받아들이고 고통을 회피하기보다 수용해서 강한 정신력을 만들라고 한다.

그러다 보면 큰 고통이 와도 이겨낼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 장은 자기 자신으로 살아라(Be yourself)고 말한다.

가장 마음에 드는 제목이었다.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 자신으로 살아가기 위한 연습이라고 할까.

누군가 존재하기 때문에 행복한 것이 아니라 나 자신의 존재로 행복해지는 것이 바로 행복이다라고 한다. 자기 마음의 주인이 되어 살 때 진정한 행복을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