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마실 - 커피향을 따라 세상 모든 카페골목을 거닐다
심재범 지음 / 이지북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비행기 안에서 전문 바리스타가 핸드드립한 커피를 마실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상상해 본 적이 있는가? 그 커피 맛은 어떻고 기분은 어떨까?

어쩌면 이런 상상의 장면은 TV드라마나, 광고,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장면같다.

하지만 실제로 가능하다다. 퍼스트클래스가 아니라도 말이다.

전문 바리스타 자격증을 가진 바리스타가 기내에서 커피를 준다.

국내 A항공사가 제공하는 커피 서비스는 세계에서 유일한 서비스라고 한다.

 

그렇지만 그 커피는 비행기를 타야만 맛 볼 수 있는 커피이다.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서는 <카페 마실>이 있다. 책으로 대리만족 할 수 있는 기회이다.

 

저자는 비행기 승무원으로 근무하며 유럽이나 호주, 미국, 일본 등지에서 커피로 유명한 카페들을 직접 체험하고 견학했다. 그 카페만의 특징이나 장점을 자세하게 보고 듣고 적었다.

 

혹시라도 외국 여행을 간다면 이곳 카페들을 들를 일정을 세워야 할것 같다.

런던에서는, 프랑스에서는, 뉴욕에서는, 시드니에서는, 일본에서는.....이렇게 가 보고 싶은 카페들이 많다.

 

주제가 커피라는 특성상 전문용어도 많고 거의가 외국어다보니 커피가 많이 대중화가 되어 있다고 하더라고 즐기지 않는 사람들에겐 생소하고 낯설다. 하지만 어렵게 쓰여있지 않고 자주 책에서 나오다 보니 몇십페이지 읽고 나면 용어들이 금방 익숙해진다.

 

한때 커피라는 것이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많이 언급이 되고 있다. 사람들 역시 인식이 달라져 이왕에 마실 커피라면 공정무역으로 구입한 커피빈으로 생산자에게도 이익을 더 주자는 의도다. '공정무역'이 무엇인지 몰랐을 때는 생산자에 대해 생각을 별로 하지 않았다.

생산지에 막대한 선진국 자본으로 농장을 만들어 커피를 키우는 것 쯤으로 생각했는데 이건 해도 너무한 것이었다. 터무니없이, 노동의 땀도 인정하지 않을 만큼의 싼값에 커피나 농장물을 사가지고 오는 것이다. 그러니 아무리 질좋고 맛있는 농작물을 생산하더라도 생산국의 경제는 좋아지지 않았다.

그래서 생산자에게 좀 더 정당한 이익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공정부역'이다.

 

세계적인 커피브랜드 회사에서는 이런 '공정무역'의 좋은 의도를 이용한다는 비판도 있어도 소비자들은 여전히 그 커피를 마시고 있다. 소비자들이 그 회사 커피를 마시는 이유도 바로 생산자에게 노력의 대가가 돌아갔으면 하는 생각에서이다.




 

 

책 <카페 마실>에 소개된 카페들은 그 나라에서는 유명한 카페지만 우리나라에선 약간 생소한 카페들이다. 아직 우리나라에 지점이 없다. 아마 대기업이 프렌차이즈를 계속해서 만들어내는 그런 카페들과 다르다는 말이다. 몇십년 동안 자신들의 커피맛을 내기 위해 노력하는 장인정신이 돋보이는 카페들이다. 물론 인터넷으로 검색을 하면 이미 다수 사람들의 후기도 볼 수 있다.

 

여행 에세이 같아 보이기도 하지만 철저하게 주제에 충실하고 알찬 내용으로 꾸며져있다.

카페 소개 뒤에 카페의 홈페이지 주소까지 있어 실제로 뉴욕이든 런던이든 가 볼 수는 없지만 인터넷서핑을 즐길 수 있다. 주말의 한가한 오후에 차한잔의 여유와 읽을 책과 함께 커피를 마시며 여행을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