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 교과서 고전 읽기 - 고전을 미리 읽어두면 교과서가 쉬워진다! 사고뭉치 5
박홍순 지음 / 탐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받고 제일 먼저 나의 중학교 시절을 생각했다.

중학교때 늦게 사춘기가 왔던 걸로 기억한다. 아마 중3 때쯤이지 않았나 싶다.

요즘 아이들에 비하면 많이 늦은 편이지만 그때는 무척이나 반항아였던 걸로 기억이 난다.

그리고 그 당시에 배웠던 도덕을 떠올렸다.

당시엔 동약 철학과 서양 철학을 공부했는데 무척이나 어려웠던 걸로 기억한다.

물론 도덕은 별로 좋아하지 않는 과목 중에 하나였다.

 

동양철학에서 '이기론'과 '주기론'등은 아직도 기억나는 사상들이다.

이해는 되지 않았지만 계속 외우려고만 했다. 시험 때문에 말이다.

그렇게 공부를 하다보니 고등학생때까지 윤리를 좋아하지 않았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해보면 좀 더 공부 방법을 달리해 보았으면 재밌게 공부를 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도 해본다. 무조건적으로 딱딱한 교과서만 잡고 수백년, 수천년 전의 역사도 모르면서 당시의 철학사상을 공부하려니 도저히 이해가 가지 않았던 것이다.

지금의 이 시대엔 다양한 매체를 통하거나 방법만 바꾸었어도 지금 인문학이나 철학, 역사책을 아주 즐기며 읽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이르기까지 했다.

 

<중학 교과서 고전 읽기>는 중학교 도덕 교과서에 나오는 많은 동서양의 철학을 고전이나 철학자들의 책에서 찾아 정리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도 자주 접하게 되는 사상가들의 고전이 어떻게 교과서에 언급이 되어 있는지, 또 사상이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그 방향까지도 제시해 준다.

 

언뜻보면 철학자니 사상이니 어렵게 느껴진다. 하지만 성인이 읽는 철학책들에 비해서는 아주 쉽게 풀이를 해 놓아 고전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을 것 같다. 게다가 각 장의 처음에는 교과서 내용과 학년, 교과 단원까지 소개되어 있어 논술을 준비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분야별로 나누었다. 철학-윤리, 사회-국제, 정치-경제, 신화-역사로 나누어져 있어 더욱 찾아보기도 쉽게 구성되어 있다.
각장은 5명의 철학자들을 소개하는데 러시아의 대문호 톨스토이부터 칸트, 에리히 프롬, 조지 오웰, 수전 손택, 제레미 리프킨, 맹자, 루소, 몽테스키외, 호메로스, 사마천 마르코 폴로 등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사상가들이다. 그들의 책에서 배울 수 있는 교과서 내용도 요약되어 있어 학생들에겐 더 없이 좋은 보충자료가 될 것 같다.

 

이 한권으로 더 많은 고전책을 읽고 싶어질 것 같다. 그리고 사회 과목에 자신이 없었던 학생에게도 무척이나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공부를 시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거나.
제목은 중학생을 위한 책인것 같지만 꼭 중학생이 아니더라도 두루 도움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