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려라, 돌콩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30
홍종의 지음 / 자음과모음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 자음과 모음의 청소년 책이 이렇게 재밌을 줄 몰랐다.

지난 번 <시간을 파는 상점>에 이어 두번쨰로 읽고 있는 청소년 도서이다.

예전엔 청소년 도서라고 하면 공부에 지친 아이들의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대학을 어디를 갈까를 고민하는 모습으로만 생각했다. 그런데 막상 읽어보니 이렇게 많고 다양한 주제로 한 아이들의 이야기구나 싶어 새삼 놀랍기도 하면서 재미가 있었다.

 

모든 아이들이 제각각 성격이나 재능이 다르 듯, 한권 한권마다 빨강, 파랑, 노랑, 녹색 등 다양한 빛깔들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달려라 돌콩>도 어떤 내용일까....궁금했지만 지나친 기대는 책에 대해 쉽게 실망할 것 같아 지나친 기대를 줄이려고 이틀 정도를 책상에 둔 뒤에 읽었다.

 

한번은 엄마에게 왜 이름을 그렇게 지었냐고 따졌다.(중략)

나중에 알고 보니 아버지는 토요일을 반공일, 일요일을 공일이라고 불렀다. 그러니까 나는 일요일에 태어난 것이다. 이름까지도 참 무성의하게 지었다.(p.57)

 

501?? 오공일?? 주인공의 이름이다.

요즘 아이에게 이런 무성의(?)이름을 지어주었다가는 놀림의 표적, 왕따의 시작이 되었을 것이다.

이름의 전설(?)에서 풍기는 분위기로 알겠지만 공일이의 부모님은 '반공일, 공일'이라는 단어를 쓰는 시대에 살아오신 분들이다. 그러니까 공일이는 부모님의 늦둥이로, 그것도 부모님의 재혼으로 태어났다. 그러다 보니 이복형의 아들보다도 나이가 어린 공일은 아무래도 늙은 부모님보다는 형이 뒷바라지를 해야했다. 게다가 공일이는 형과는 다르게 작고 외소한 체형에 성격까지 내성적이라 아이들의 따돌림의 대상이 되기 쉬웠다. 그리고 공부에 취미도 없어 더욱 아이들의 좋은 놀림감이었다.

 

고등학교 1학년, 학교 짱에게 놀림을 받다 도망을 간다. 그런데 하필이면 길가에 세워져있던 양계장차를 몰고 도망가는 바람에 일이 커지고 만다.

소목장을 하고 있던 형과 목장 아르바이트생 금주까지 나서 겨우 트럭기사와 합의를 본다.

크게 사고를 친 공일은 학교를 그만 자퇴하고 형의 목장에서 소를 돌보며 형수의 눈치를 받는다.

 

이 정도까지는 아무래도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인것 같다.

학교의 집단 따돌림, 공부나 특기가 달리 없는 평범한 아이, 거기다 꿈까지 없어 매일이 무기력하고 질풍노도 탓에 자신의 존재감을 비관하는 청소년.

 

여기서 이야기가 큰 반전없이 흘러간다면 재미가 없겠지만 우연히 들은 한 마디에 공일의 운명이 바뀌게 된다.

 

"아저씨, 말 타세요?" (p.74)

 

조카인 도민이를 만나러 가는 중 버스안에서 만난 또래 여학생이 한 말이다.

가지고 있던 채찍(은 왜 가지고 있는지 책에서 확인하길~)을 보고 공일을 말타는 기수로 착각한 것인다.

 

만 16세 이상.....신장 168cm이하, 체중 49kg 이하......

 

이런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공일은 기수학교에 입학한다.

공일이가 학교에 입학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끝나는 것이 아니다. 더 많은 일이 공일이에게 아직 남아있다.

그 나머지 이야기는 책으로 확인해 보기를~~~^^

 

 

고등학교 1학년 자퇴생, 아무런 재주도 특기도 없던 아이가 어느날, 하늘에서 내려온 계시를 받은 것 같이 뭔가 되고 하고 싶은 일이 생겼다. 그리고 그것을 하기 위해 노력하는 아이.

아마 이제는 공부만을 강요하는 시대는 끝난것 같다.

아이들에게 자신이 잘하고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을 찾게 도와주는 것이 부모님의 역할이 아닐까 싶다. 방황하고 나약한 아이가 아닌 건강하고 강한 아이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돌콩이처럼~!!

 

초겨울 햇살에 넝쿨이 마르고 있었다. 실뭉치처럼 뒤엉킨 넝쿨은 줄기 중간에 보잘것없는 꼬투리를 다닥다닥 매달았다. 넝쿨을 당겨보았다. 뚝 끊어진다. 시에서처럼 끊어지고 남은 넝쿨이 철사를 단단히 움켜쥐고 있었다. 금주가 꼬투리 몇 개를 따서 깠다.

"이게 돌콩이야." (p.111~1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