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 멘토를 만나다 - 자기소개서작성, 포트폴리오준비, 학교생활기록부관리, 입학사정관제 합격수기 입학사정관제, 멘토를 만나다 1
전용준.박민호.임정현 지음 / 미디어숲 / 201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전 지인이 자신의 딸이 중학생이 되는데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정보가 있냐며 물어보았다.

신문에서 몇번 본 적은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지는 말 할 수가 없었다.

그러면서 주위 엄마들은 이런 저런 정보로 아이들의 대회 출전이나 상장 수집(?)에 대해 대단하다며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고민하셨다.

 

도움이 되고 싶었지만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것에 대해 말했다가 상대방에게 불이익을 줄까봐 아무런 말을 할 수 없었다. 아이들에 관한 교육 문제 아닌가.

엄마들에게 아이들에 관한 문제보다 더 심각한 것이 있을까 싶다.

바쁜 직장 생활을 하며 아이들을 돌보는 워킹맘들은 정보를 얻거나 찾아볼 시간이 적을 것 같다.

그렇다 보니 아이들에게 필요한 이것저것들을 챙길 수 없고 그러다 보면 준비 기간도 짧고 미숙해

시간을 놓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워킹맘들에게 이 한권의 책이 어쩌면 든든한 지원군이 될 것 같다.

그런데 책이 자세해도 너무 자세한 것 같다. 어쩌면 다른 책은 혼란만 가중될 뿐, 별로 필요가 없을 정도이다.

 

'입학사정관제'는 수치화된 성적만으로 선발하던 대입제도에서, 학생-학교, 심지어 학생을 선발하는 대학까지 다양한 면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로서 도입된 것이다. (p.4)

그렇다보니 학교 성적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아이의 대외 활동이 아주 중요해졌다.

 

 

우선 자기 소개서. 요즘 취직을 할때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소개서'가 사람으로 비유하자면 '첫인상'이 되는 것이다. 이런 자기 소개서를 쓰는 것은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니다.

1장에서는 자기 소개서에 들어가야 할 내용이나 연습방법, 서울대학의 예시문까지 있어서 좀 더 쉽게 쓸 수 있을 것 같다.

 

2장부터는 본격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과정이 자세히 나와있다.

독서활동이나 봉사활동, 특기적성활동과 공모전황동에 대해 제대로 알게 해 준다.

준비 방법이나, 어떻게 하면 되는지, 심지어 이과와 문과까지 나누어 자세히 알려준다.

 

3장은 학교생활기록부 관리에 관한 관리 가이드이다.

생활기록부에 관한 모든 것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너무 자세한 사항과 예시들이 가득해 천천히 읽어본다는 아무 큰 도움을 줄것 같다.

 

마지막장은 입학사정관제 전형으로 유명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의 수기가 실려있다.

아이들과 함께 읽는다면 나도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을 심어 줄 수 있고 엄마들에겐 어렵지만은 않은 제도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게다가 부록까지 있어 더욱 실제적으로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이다.

제도를 보다 잘 알고 자신의 아이에게 최대한 도움이 될 수 있게 준비를 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