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발견하는 대학 생활 - 슬기로운 당신을 위한 진로 백서
홍기훈.김도경 지음, 김벼리 그림 / 북카라반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험생이나 학생들이 가장 많이 듣는 말 중에 하나가 '대학에 들어가면'이라는 말일 것이다. 대학에 들어가면 하고 싶은 모든 것을 할 수 있고 해도 된다고 하지만 막상 대학생이 되고 나면 현실을 맞이하게 된다. 1학년에 입학했지만 취업이나 장래를 생각해야 하는 것이 요즘 대학생활일 것이다. 자신의 진로를 일찍부터 정한 학생을 많지 않다. 다들 대학에 들어가서, 대학을 졸업하고도, 취업을 해서도 진로에 대해 고민한다. 진로에 대한 고민은 삶의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기도 하다. 삶의 방향성에 대한 고민의 답을 어느 정도 알게 되면 진로와 취업은 자연스레 따라오게 된다. 요즘 대학생활은 자신과의 싸움 같다. 1학년부터 열심히 스펙을 쌓기 위해 다양한 경험을 하고 아르바이트를 하고, 학과 생활까지 열심히 하면서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여유롭게 쓸 수 없다. 하지만 대학생활은 짧고 성인으로 맞는 첫 사회생활이기도 하기에 슬기로운 대학생활을 할 수 있었으면 한다. 진로에 대한 고민은 자신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사회 구성원으로의 나는 사회가 나에게 기대하는 역할과 내가 사회에서 하고자 하는 역할이 있다. 이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회 속에서 나를 이해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요즘은 '반수'라고 해서 학교를 다니면서 또 대입을 준비하는 경우가 있다. 대학에 입학은 했지만 학교나 과가 마음에 들지 않아 다른 학교에 진학하고 싶어 준비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는 의대나 법대 등 전문직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가끔 선택한다. 재수나 반수를 하지 않더라도 완벽하게 만족스러운 전공은 없다. 기회비용을 줄일 수 잇는 몇 가지 방법이 있는 데 부전공, 복수전공이 있다. 취업에 도움이 되는 다전공이 결코 나쁘지 않은 선택인 것이다. 대학은 공부 잘하는 요령이 따로 있다. 학점은 대학 생활에서의 성실함에 대한 척도가 되고 교내외 장학생이나 교환학생 등 학교에서 학생을 추천해야 할 때 충족해야 할 조건이 된다. 가장 기본이 되는 자세지만 강의를 빠지지 않고 듣는 것이다. 졸업 요건에 맞게 본인이 직접 시간표를 짜야 하고 학점 관리 고수들은 기본적으로 수간 신청을 잘 한다. 수강 신청 당시부터 중간, 기말고사에 대한 대비가 되어있다. 수업에 따라 다르지만 조별 과제를 많이 하게 된다. 조별과제는 협동능력과 책임감 향상, 팀원간 소통 및 전공 지식의 자립적인 연구를 목표로 한다. 조별 과제를 통해 무언가를 함께 해낸 경험을 말해야 팀워크의 좋은 예가 될 수 있고 기업의 서류전형 자기소개서에서도 빛을 발한다. 결국 슬기로운 대학생활은 개개인의 마음가짐이다. 앞으로 사회에 나가 조직 생활하면서 시시각각 맞닫뜨릴 협업은 남의 일이 아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