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설계자 - 옥스퍼드대 교수가 전하는 프로젝트 성공의 법칙
벤트 플루비야.댄 가드너 지음, 박영준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이 비전을 바탕으로 훌륭한 계획을 세우고 이를 통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한다. 프로젝트는 그 크기에 상관 없이 결과를 만들어내고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대형 프로젝트가 처음의 약속대로 수행되는 예는 대단히 드물다. <프로젝트 설계자>에서는 대형 프로젝트의 성과가 좋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지, 예외적인 성공 사례들은 어떻게 생겨났는지, 앞으로 성공을 반복할 수 있는지 등의 질문에 대답하기 위한 경험들이 있다. 규모가 큰 프로젝트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책이다. 프로젝트를 하면서 얻게 된 교훈은 매우 간단하고 명확하며 동시에 두렵기도 하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단지 처음의 약속을 지키지 못할 정도의 리스크만을 알고 있는 것이 아니다. 사업에서 차질이 빚어질 위험이 심각한 정도에 그치지도 않는다.

프로젝트에 막대한 손실을 가하고 종국에는 블랙스완이라는 결과를 불러올 크고 극적인 사건들은 은비록 발생할 확률은 낮아도 일단 발생하면 파괴력이 엄청나다. 그 사건 자체가 바로 블랙스완이다. 프로젝트에 피해를 주고 때로 중단시키기까지 하는 변화가 꼭 극적인 형태로 찾아오는 것은 아니다. 평범한 변화가 프로젝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 역시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말보다 행동을 선호라는 극적적인 태도는 비즈니스에서 꼭 필요한 사고방식이다. 이것을 행동 편향성이라고 하는데 행동 편향성이 조직의 문화 속으로 깊이 침투하면 되돌림의 원칙은 대체로 실종된다. 남은 것은 어떤 상황에서든 하면 된다라는 구호다. 때로는 행동 편향성과 거리가 먼 정상적인 사고에 역행하는 편견이 바람직하지 않더라도 어떻게든 프로젝트를 속히 시작하고 일이 제대로 돌아간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업무의 진척에 대해 가시적인 증거를 얻어내고자 한다면 긍정적일 수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