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처음공부 - 시작부터 술술 풀리고 바로 써먹는, 개정판 처음공부 시리즈 1
수미숨(상의민).애나정 지음 / 이레미디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식을 한다면 한국주식보다 미국주식을 하는 것이 낫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물론 한국주식을 하다 손해를 본 지인의 개인적인 의견이다. 한국주식이든 미국주식이든 그 분야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투자를 할 수 있다. 무턱대고 누군가 좋다, 괜찮다는 말에 투자를 할 수는 없다. 절대로 그래서도 안되며 <미국주식 처음공부>를 통해 미국주식에 대해 조금 알아본다. 우리는 지금 당장에라도 미국주식을 살 수 있다. 그렇다보니 해외주식 투자의 인기가 높다. 주식에 관심이 없는 사람도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라는 회사를 믿고 주식을 사기도 한다. 국내주식 투자에 회의적이고 부정적이었던 사람들이 해외주식에 투자를 하는 편이다. 미국주식투자를 한다고 해서 영어를 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영어는 자료를 찾고 기사를 읽을 때 유리할 뿐 주식투자에 영어는 큰 장벽이 아니다. 최근 많은 국내 증권사에서 해외주식 서비스에 대한 문턱을 낮추고 있어 높은 환율 우대와 낮은 수수료를 내세우고 있다.



주식시장은 11개의 섹터로 분류한다. 각각의 섹터가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각 섹터를 대표하는 기업들로는 어떤 기업이 있는지 알아두어야 한다. 에너지, 소재, 산업재, 임의소비재,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금융, 정보 기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유틸리티, 부동산 등의 11개로 나뉜다. 섹터별로 대표적인 기업들이 있고 우리도 알고 있는 글로벌 기업들이 있다. 돈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섹터를 알아야 하고 섹터는 산업 변화와 경제 사이클의 영향을 받는다. 섹터에 대한 공부한 것들을 어떻게 투자에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계좌도 만들고 어떤 주식을 사야할지 고민이 되고 11개의 섹터 1, 2등 기업들의 주식을 사다보면 포트폴리오엔 수십 개의 종목으로 가득하다. 무작정 좋아 보이는 기업들의 주식을 사 모으다 만들어진 포트폴리오는 효율적으로 관리가 되지 않는다. 어떤 투자자는 소수의 개별 종목에 집중하며 투자를 시작하기도 한다. 업종이나 기업별 투자 비중을 구성하고 효율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수 있는 투자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