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태주의 행복수업
김지수 지음, 나태주 인터뷰이 / 열림원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나태주 시인의 시를 알게 되었을 때 짧지만 참 대단한 시라는 생각이 들었다. 시가 원래 짧은 길이지만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축약하고 요약해서 전달하는 것이다. 그 짧은 시에 많은 것을 담기 위해 함축적인 의미를 가진 시어가 있다. 그런 것들이 시만이 가지는 특징이기도 하다. 그럼 시적인 특징을 잘 느끼게 하는 것이 나태주 시인의 시였다. 나태주 시인은 공주에서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했고 지금은 '나태주풀꽃문학관'을 설립하고 운영하고 있다. 시인을 만나러 공주로 가서 인터뷰처럼 이야기를 하며 <나태주의 행복수업>을 쓰고 있다. 시인과의 만남은 일이 아니라 나이와 성별에 구애받지 않는 친구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것 같다.


<나태주의 행복수업>에서 시인과 인터뷰어가 나누는 대화는 특별한 것은 아니다. 대화를 하다 시를 읊기도 하고 다른 시인의 시를 이야기하기도 한다. 계절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며 편안한 분위기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공주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누어도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차를 마시면서 이야기하고, 밥을 먹으면서 이야기하고, 마당 나무 의자에 앉아 이야기하기도 한다. 이런 두 사람의 이야기는 삶에서 행복이라는 것이 큰 형태가 아니라 오히려 작은 형태로 순간순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 인터뷰어는 시인을 행복 가이드라고 불렀다. 나태주의 행복 여행은 더 나은 선택을 위한 인지력을 발휘하지 않을 때 느껴지는 수동적인 편안함이 있다고 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