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나는 광주야 - 어린이 광주여행 가이드북, 동화로 읽는 광주 여행 정보 이야기 안녕, 나는 가이드북 시리즈
이나영 지음 / 상상력놀이터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 나는 광주야>는 '안녕 나는 가이드북 시리즈'로 이 <안녕, 나는 광주야>는 11번째 시리즈다. 강원도, 대구, 경주, 제주도, 강릉, 인천, 서울, 전주, 부산 등 여러 도시의 가이드북 시리즈가 있다. '안녕 나는 가이드북 시리즈'의 장점은 어린이 가이드북이라는 것으로 아이들이 도시를 여행하면서 보고 듣고 느낄 수 있고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재밌는 광주의 사투리도 배우며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게 한다. 광주광역시를 포함한 전라도를 호남지방이라고 한다. 호남이라는 말은 호수 남쪽이라는 의미로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의 경계인 금강의 남쪽이라는 뜻이다. 광주는 오래전엔 노지현, 무진주, 무주, 광산으로 불리다 광주로 되었다. 빛고을이라는 뜻이다. 빛고을이라는 이름이 잘 어울린다. 전라도는 전주와 나주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전라도에서 가장 큰 도시가 전주와 나주였다.



광주는 예향의 도시라고 한다. 예향은 예술적인 도시이자 멋스러운 도시라는 뜻이다. 다양한 선비문화가 자리하고 있고 선비들의 풍류를 느낄 수 있는 유적지들이 담양과 광주에 자리하고 있다. 고려 말기의 충신인 정몽주, 지용기 등 5인을 모시는 사당이 있는 병천사,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덕령을 기리는 취가정, 판소리는 주로 호남지방에서 이어져 내려오는 종합예술이다. 흥보가, 심청가, 서편제는 광주에서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오랫동안 보존하고 있다. 전라도하면 또 음식이 빠질 수 없다. 미향의 도시답게 맛있는 음식이 가득하다. 주먹밥, 육전, 상추튀김, 송정리 떡갈비, 암뽕순대와 순대국밥, 애호박찌개, 오리탕, 보리굴비, 무등산 보리밥, 마늘 갈비, 홍어삼합, 생고기 비빔밥, 광주 한 상 차림 등 엄청나게 많은 음식들을 맛 볼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매력을 가진 광주를 재밌게 여행할 있는 워크북까지 있어 아이들에게 기억에 오래 남을 여행이 될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