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대화할까요 - 완전한 소통을 위한 관계심리학
후션즈 지음, 박지수 옮김 / 더페이지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통이 잘 이루어져야 인간관계도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소통은 표면적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 정보나 생각 또는 감정을 전달하는 교류 방식이다. 보통 언어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 소통이다. 이 언어네는 문어, 구어, 수화 등이 포함되고 다양한 학문을 포괄하고 있으므로 소통에 대한 공부도 필요하다.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표현의 욕구가 있고 소통 능력을 타고난다고 할 수 있다. 아기는 울음을 통해 배고픔을 표현하듯이 이것 또한 일종의 소통이다. 하지만 아기가 성장함에 인간관계 범위가 넓어지고 일방향 소통에서 쌍방향 소통으로 점차 변한다. 효과적이고 기분 좋은 소통은 평등과 존중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소통을 하는 두 사람은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일방적인 표현은 소통이 아니고 연설 또한 소통이 아니다. 훈계 역시 소통이 아니다.

유쾌한 대화에는 간단한 규칙이 있다. 대화는 관계를 맺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이자 관계를 보여주는 가장 직관적인 방법이다. 유쾌한 대화를 위해 사전에 준비가 필요하다.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면 먼저 상대방에게 대화하고 싶은 신호를 보내고 본론에 들어가기 전 사전 준비로 상대방에 관한 관심을 표한다. 상대방이 이야기를 하고 있다면 이야기를 잘 듣고 있음을 나타내는 반을을 보인다. 그것이 소통의 상호작용이다. 친근감을 표현하는 좋은 방법으로 인정과 공감이 있다. 효과적인 대화는 쌍방의 상황을 기준으로 삼아야 하고 개인적인 바람을 참고하는 것이 아니다. 좋은 관계는 경계가 필요하고 각자의 권한을 구분해야 한다. 경계는 심리적 경계, 신체적 경계, 정서적 경계, 공간적 경계가 포함된다.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면 경계를 지킬 필요가 있고 타이느이 경계 침범을 거절함과 동시에 타인의 경계를 침범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