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문장 표현에서 문장부호까지! -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선생님의 문장 교실
이수연 지음 / 마리북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글은 우리말이고 태어나면서부터 배운 모국어이기도 하지만 가끔은 어렵다는 생각을 한다. 글자를 읽고 쓰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표현을 쓰고 있는지, 맞춤법은 맞는지, 문장부호는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 궁금할 때가 있다. 요즘은 검색을 통해 쉽게 맞춤법을 검사할 수 있다. <좋은 문장 표현에서 문장부호까지!>를 통해 그동안 잘못 알고 있던 문장 표현이나 문장부호를 제대로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관계의 정도에 따라 '-고'와 '-며'는 구분해서 사용하는 연결어미이다. 세 개의 절을 연결해야 할 때 '-고'로 사용할 수도 있고 '-며'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고'는 '-며'에 비해 더 밀접한 사이로 의미가 가까우면 '-고'로, 비교적 먼 사이면 '-며'를 사용한다. 즐거운 주말은 '되는' 것이 아니라 '보내는' 것이다. 업무상이나 격식을 차리는 사이에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라 '즐거운 주말 되세요'라고 인사를 한 적이 있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라는 표현이 맞다는 것을 알고 인사 습관을 고치기로 했다.

글을 씀에 있어 문장부호도 아주 중요하고 문장구조를 드러내거나 글쓴이의 의도를 쉽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그런 문장부호를 많이 생략하게 된다. 마침표, 물음표와 같은 문장부호는 너무 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문장부호에 대해선 어떤 쓰임을 가지고 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무언가를 나열할 때 쉼표나 가운뎃점을 사용하는데 문장부호를 일관되게 한다면 어느 쪽이든 쓸 수 있다. 가운뎃점이 같은 묶음에 속한 어구들 사이에 쓰인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더 응집성 있게 표현한다. 쌍점의 띄어쓰기도 많이 헷갈린다. 어문 규범에도 쌍점의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 쓴다고 나와 있다. 날짜를 나타낼 때뿐만 아니라 장소나 종류 등을 나타낼 때에도 쌍점의 앞은 붙여 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