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경제학 - 음식 속에 숨은 경제 이야기
시모카와 사토루 지음, 박찬 옮김 / 처음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에게 먹는 일은 본능이다. 먹는다는 것은 생명과 직결된 일이라 아주 중요하다. 그래서 식량 생산은 인간과 뗄려야뗄 수 없는 일이 되었는데 먹다를 경제학적으로 표현하면 식량을 소비한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식량을 소비해야 살아갈 수 있다. 신테나 장기의 활동을 위해 최소한의 에너지를 섭취해야 한다. 먹다만을 중심으로 바라보는 관점과 먹다와 식량 생산 사이의 깊은 연관성을 인식하는 관점은 서로 크게 다르다.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사람들이 하루에 섭취하는 총에너지양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실제로 소득 수준이 크게 다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에서도 하루 섭취 에너지양은 차이는 두 배 미만이다. 시장이라는 구조는 식량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세상에는 다양한 시장이 존재한다. 시장의 중요한 역할은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가능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그 중에서 사회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선택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시장도 완벽하진 않다. 사회에서 가장 바람직한 선택에 관한 견해는 다양하고 공평성의 문제 등도 포함된다. 가치판단은 단순히 이론으로만 정의할 수 없다. 개개인의 입장이나 상황에 따라 그 판단은 종종 달라진다.

불안정한 식품 가격은 농업 수입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풍작이든 흉작이든 농작물의 생산 비용은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매출의 차이는 바로 농가 수입의 차이로 연결된다. 식량 생산의 입장에서 농업의 어려운 점 중 하나는 씨를 뿌리고부터 수확에 이르기까지 재배 기간이 길다는 것이다. 이 기간 동안 농업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지만 그에 따른 수입은 기대하기 어렵다. 세계적인 시점에서 보면 농가가 직면한 리스크의 영향은 선진국보다 개발도상국에서 훨씬 크다고 볼 수 있다. 기후변화의 결과에 따른 지역차에 주목해야 하고 영향의 지역차와 대책의 지역차가 합쳐져서 기후변화의 결과에 대한 지역적 차이는 더욱 확대될 것이다. 버려지는 식품의 손실을 줄여야 하는데 푸드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식품의 생산부터 소비 과정에서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지속 가능성의 개선은 미래의 식량 생산에 필요한 자연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주는 다음 세대를 위한 것이다. 식량 안전 보장을 개선하는 것은 식량 부족에 직면한 국가에서 식량 공급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