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루기 힘든 아이 문제는 따로 있다 - 산만한 내 아이에게 필요한 실천적 인지 기능 트레이닝
미야구치 코지 지음, 이광호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은 자라면서 어른이 볼 때 다루기 힘든 아이도 있고 그렇지 않은 아이도 있다. 각각의 성향이 다 다르기 때문에 어떤 아이는 키우기 쉽다라는 말은 할 수 없다. 그 중에서도 환경이나 상황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은 무엇이 문제인지 알아본다. <다루기 힘든 아이 문제는 따로 있다>처럼 다루기 힘든 아이들은 부모가 생각하는 문제가 아닌 다른 문제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다루기 힘든 아이는 반드시 신호를 보내는데 학교에 들어가 집단생활과 공부를 시작하면 알게 된다. 아이가 산만하다거나 수업을 잘 따라가지 못하고, 친구들과 말썽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아이들이 초등학교 1,2학년 무렵부터 다양한 부적응 신호를 보내는데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가진 아이들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외면당하거나 방치당한다. 보고 이해하는 능력, 듣고 이해하는 능력, 보이지 않는 것을 상상하는 능력이이 너무 약하고 말의 의미를 잘못 알아듣거나 주변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 잘 적응하지 못하고 생활하기 힘든 원인을 찾아야 한다. 학습적인 면에서는 인지 능력이 취약하고 대인적인 면에서는 대인관계 능력이 부족하다. 그리고 신체면에서는 신체 능력이 취약한데 몸치거나 손재주가 없다. 이 3가지 능력은 살아가는 데 기본이 되는 능력이다. 한 부분이라도 결여되면 모든 면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게 된다.   


​어려움에 처한 아이에게 필요한 두 가지가 있다. 인간은 위기상황이나 불안을 느낄 때 특정 존재에게 의지하며 안심하려는 본능이 있다. 잘 적응하지 못하고 생활하기 힘든 아이는 항상 자신감이 없고 불안정한 상태다. 위기상황이나 불안함을 느끼는 강도가 일반적인 아이들보다 훨씬 높다. 이럴 때 어른은 아이의 불안이나 불편함을 눈치채고 아이가 의지할 수 있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아이로부터의 신호를 잘 알아차리고 아이의 상태를 잘 관찰한다. 아이로부터의 신호에 잘 대응하는 것이다. 아이의 말을 끝까지 주의를 기울려 잘 들어주고 아이가 진정될 때까지 기다려준다. 아이의 이야기를 중간에 끊지 않고 끝까지 들어주며 오로지 아이 편을 들어준다. 아이가 어른이 되었을 때 다음 세대를 지탱해주는 안심의 토대나 반주자가 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