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치 - 전민식 장편소설
전민식 지음 / 마시멜로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치'는 '바다사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독도와 동해에 서식하는 물갯과 동물이지만 이제는 멸종된 동물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1900년대만 하더라도 강치는 독도나 동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다동물이었지만 일본이 무차별적인 포획으로 강치는 멸종되게 된다. 소설 <강치>는 바다사자 강치가 동해 바다를 헤엄치고 있을 1700년대의 이야기이다. '독도'하면 떠오르는 조선 후기의 어부인 '안용복'에 관한 이야기로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소설 <강치>는 지금의 우리들에게 큰 가르침을 줄 것이다.



임진왜란도 100년에 끝났지만 일본인들은 바닷가 마을을 돌아다니며 노략질을 해대곤 했다. 하지만 식량이나 물건을 약탈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까지 해를 입혔다. 나(용복)와 업동, 어둔은 일본인들에게 붙잡혔고 결국 업동은 목숨을 잃고 만다. 죽은 업동은 바다에 던져버리는 일본인들을 보며 용복은 살아 일본놈에게 복수하겠다고 맹세했다. 용복은 상인이었고 일본어를 할 줄 알고 있어 일본인들과 말이 통했지만 일본인들은 용복 일행이 불법으로 침범했다고 체포했다. 내륙의 영주에게 끌려간 용복과 어둔은 감옥에서도 독도는 조선의 땅이라고 외친다. 그런 용복의 행동에 일본인도 감동하며 그의 이름을 물어본다. 돗토리로 간 용복은 그곳에서 도화를 만나게 되고 조선을 떠나 일본 땅에서 살 수 밖에 없는 조선여인들이 많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면서 조선인들이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것이 더욱 가슴 아팠다. 다행히 용복은 다시 조선으로 돌아가게 된다. 하지만 용복과 어둔은 곧 관아에 잡혀가게 된다. 나라에서 금한 도해금지령을 어겼다는 이유에서 였다.



소설속의 안용복이지만 일본의 검 앞에서도 절대 독도가 조선의 땅이라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당장에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용복은 끝까지 '독도는 조선 땅'이라고 한다. 그렇게 고향으로 돌아온 용복의 독도 지킴이는 끝나지 않는다. 일본은 계속해서 독도를 일본의 땅이라고 하는데 용복은 절대 굴복하지 않고 '죽도'라는 이름도 허락하지 않는다. 300년 전 용복만큼 현재의 우리가 독도를 잘 지키고 있는 것일까? 광복 몇년이나 3.1절 몇년 기념일로만 우리 땅을 지키는 것이 아니라 항상 생각하고 자각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