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을 빼앗긴 세계 - 거대 테크 기업들은 어떻게 우리의 생각을 조종하는가
프랭클린 포어 지음, 박상현.이승연 옮김 / 반비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중들의 생각을 지배하고 조종하는 주체가 있다'는 주제는 SF소설이나 영화에서나 나옴직한 주제일 것이다. 하지만 그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우리는 현재도 그런 생각의 지배를 받고 살아가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에서 '구글링(googling)'이라는 단어는 신조어라고 할 수 있는데 한글로는 '검색하다'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구글링'은 '구글'이라는 검색포털의 이름으로 특정 브랜드이다. 영어에서 검색한다는 말이 생길 때 구글의 영향력이 커서 구글이라는 대명사에 동사형을 붙여 새로운 단어로 만든 것이다. 이와 비슷한 예로 '콜라'는 음료의 대표 브랜드인 '코카콜라'에서 따온 말이지만 '코카콜라'와 비슷한 음료를 통칭해 콜라라고 한다. 이런 현상들은 브랜드를 만드는 기업에 의해 대중들의 인식이나 생활 습관이 바뀌게 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즉 기업의 생각을 대중들에게 주입하고 각인시켜 생각하는 즐거움을 빼앗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 본다.



<생각을 빼앗긴 세계>에서는 대기업들이 대중들의 지식과 사상, 프라이버시, 문화를 어떻게 파괴하는지 알려준다. 페이스북이 처음 세상에 나왔을 때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고 페이스북의 추종자가 된다. 하지만 현재는 어떤가? 잦은 해킹으로 수많은 사람이 피해를 보고, 좋아요를 받기 위해 위험한 일도 하게 된다. 그리고 페이스북의 관계망에 포함되지 않는 사람은 저절로 무리에서 왕따가 될 수도 있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그리고 페이스북은 기계적인 사고와 사유의 자동화를 '알고리듬'이라는 이름으로 부를 수 있는데 따라하기만 하면 같은 결과물을 얻게 되어 실패가 없다. 이렇게 기계화되어 점점 생각을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라고 하지만 실제 사람들의 생활은 어떻게 변했을까? 그 수많은 정보의 얼마를 보고 듣고 이용할까? 1990년대 미국 전자상거래의 시작이자 최고의 인터넷 종합 쇼핑몰인 '아마존'은 지식의 파괴자라고 할 수 있다. 아마존은 인터넷서점으로 책을 팔던 곳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종합 쇼핑몰이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콘텐츠를 구입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이 콘텐츠를 생산하고 퍼뜨리는데만 관심을 가지고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는 형태로 음악 스트리밍으로 음반산업이 쇠퇴하고 전자책으로 종이책의 판매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산업의 변화가 아니가 다른 산업을 파괴시키고 생성되는 콘텐츠라 많은 피해가 있다. 애플은 아이팟에 수천 곡의 디지털 뮤직을 저장할 수 있게 만들었지만 정작 아이팟에 불법 복제 음악을 저장하지 못하도록은 설계하지 않았다. 이는 디지털 불법 복제를 허용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아이팟이 새로운 음악산업에 구원자가 되었다. 이런 모든 것들이 대기업의 전략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