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이 강렬하다. 프랑스 소설이다. 프랑스에서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지구 모든 곳에서 아빠가 엄마를 죽인다. 필리프 베송은 아빠가 엄마를 죽인 그 시점부터 시작한다. 13살 여동생이 19살 주인공에게 전화를 한다.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이 한문장으로 주인공의 삶은 완전히 뒤바뀐다. 동생을 만나러 가는길, 경찰과의 대질, 도망친 아빠와의 만남. 주인공은 오래동안 꿈꿔왔던 발레를 그만두고, 여동생은 스스로를 잃는다. 이 책은 이 과정을 아주 세세히 따라간다. 아빠가 엄마를 죽인 수없이 많은 사건들이 생각나고, 그리고 그 아이들이 생각난다. 더이상 아빠가 엄마를 죽이지 않았으면.
76살 마리아는 살던 아파트의 화재로 시니어 성소수자 공동 주택 단지인 플레이아데나에 들어간다. 마리아는 자신의 오랜 파트너의 죽음 이후 삶에 대한 의지가 크게 없다. 마리아는 여기서 늙은 게이와 레즈비언, 성정체성으로 모든걸 정의할 수 없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난다. 마지막 엔딩은 달빛 아래서의 키스다. 내가 하는 사랑의 형태에 대해 생각해볼 수 밖에 없다. 만화 끝에 작가의 말이 있는데 많은 퀴어 이야기를 기록하겠다는 의지가 강렬하다. 마음이 따뜻해지는 작품인 한편 우리나라에 시니어 성소수자 공동 주택 단지가 생기려면 몇년이 더 필요할까란 질문이 남는다.
한승태작가의 책은 재밌다. 고된 노동을 그린 르포인데 읽다보면 웃음이 터져나온다. 그가 흘린 땀과 시간이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다. 내가 알아야하지만 결코 알 수 없는 세계와 그곳의 사람들이 책에 담겨있다. 마지막 작가를 다루는 챕터는왜 그렇게 쓸쓸한지. 책을 읽으며 나는 언제 멸종이 될까를 곰곰히 생각하게 되었다. 우린 모두 멸종을 앞두고 있다는생각도 든다. 작가의 책이 계속해서 출간되길 간절히 바란다.